“곳곳이 암초”…‘미중 리스크’에 흔들리는 K-배터리

입력 2023-11-26 14: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SK온)

‘수주 1000조 원’ 시대를 연 국내 배터리 산업이 암초를 만났다.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과 중국의 영향력 확대,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세 둔화 등이 겹치며 ‘삼중고’를 겪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연말까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규정하는 ‘해외우려기업(FEOC)’ 세부 지침을 공개할 예정이다. 2024년부터 FEOC가 제조·조립한 배터리 부품을 사용한 전기차는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없다. 2025년부터는 FEOC가 채굴·가공한 핵심 광물까지 제외 대상에 포함된다.

업계가 예의 주시하는 부분은 ‘지분’ 제한이다. 8월 발효된 반도체법(칩스법)은 중국 측의 지분이 25% 이상인 기업도 FEOC에 포함시켰다. 만약 IRA에서도 이 규정을 따른다면, 중국 기업과 합작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도 타격을 피하기 어렵다.

SK온과 에코프로는 지난해 중국 거린메이(GEM)와 인도네시아에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올해 3월에는 전북 새만금에 전구체 공장 건설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중국 화유코발트는 올해 들어서만 LG화학, 포스코퓨처엠, LG에너지솔루션 등과 손을 잡았다. 포스코그룹은 중국 CNGR 등과 함께 1조5000억 원을 들여 경북 포항에 니켈·전구체 공장을 짓기로 했다.

조 맨친 민주당 상원의원은 13일(현지시간) 재무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중국 기업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 투자하며 미국의 IRA 규제를 회피하고 있다”며 “강화된 FEOC 지침을 통해 제도적 허점을 악용하는 사례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부에서 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은 데다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이 FEOC에 대한 우려를 여러 차례 밝힌 만큼 큰 영향은 없을 것이란 가능성도 제기한다.

그러나 미국발 리스크는 다양하게 진행 중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필두로 한 공화당 대선 후보들이 ‘IRA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간 북미 투자를 늘려왔던 국내 배터리 기업으로선 이 같은 움직임이 달갑지 않다. 올해 3분기 LG에너지솔루션은 IRA에 따른 첨단제조세액공제(AMPC)로 2155억 원을 받았다. 전체 영업이익(7312억 원)의 30%에 달하는 수준이다. SK온도 AMPC 혜택 2099억 원에 힘입어 올 3분기 역대 최소 적자를 기록했다.

배터리 밸류체인(가치사슬)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중국 정부는 내달 1일부터 배터리 음극재의 핵심 원료인 흑연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행한다. 한국의 중국산 흑연 의존도는 90%를 웃돈다.

저가 공세를 앞세운 중국 배터리 업체의 시장 점유율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9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는 CATL(36.8%), 2위는 BYD(15.8%)로 나타났다. 국내 배터리 3사의 합산 점유율은 23.8%에 그쳤다.

업계 관계자는 “자국에 생산시설을 두는 미국의 ‘온쇼어링’ 정책, 중국의 핵심 광물 수출 규제 등 불확실성이 커지며 단기적으로는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과거 대규모 투자에 따른 재무 부담도 있다”면서 “다만 IRA의 방향성이 쉽게 바뀌긴 어렵고, 국내 기업들이 진행하는 수직 계열화가 완성되면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