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인상 딜레마] 한전 반짝 흑자에도 웃지 못하는 中企 속내는

입력 2023-11-24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전력의 3분기 영업이익이 반짝 흑자를 기록했지만, 누적된 적자를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다. 전기요금 인상의 필요성이 커지지만, 에너지비용 감당이 어려운 중소기업들은 걱정이 앞선다. 사진은 서울 중구 한국전력공사 서울본부.(뉴시스)

#한국전력의 1차 공급사에 부품을 납품하는 중소기업 A사는 각종 사고 위험을 대비하는 신형 검침 관련 제품의 도입이 늦어지면서 신제품의 납품이 언제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한전의 막대한 적자에 따른 예산 문제의 사각지대에 하청업체의 운명이 놓여있다.

23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한전이 수년간 전기요금을 동결했다가 최근 들어 단계적으로 인상하고 있지만, 여전히 예산 사용이 수월하지 못하면서 하청업체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A 업체 관계자는 “기존 방식으로 앞으로 있을 사고 위험에 대비하기 쉽지 않다”라며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도입해야 하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식적으로 말은 안 하지만 한전의 예산 문제가 이유인 것 같다”라고 토로했다.

한전의 재무상황은 하청업체들의 이익을 대변한다. 한전의 올해 3분기 매출액은 24조4700억원, 영업이익 1조9966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는 상반기 국제 에너지 가격 안정 효과가 수개월의 시차를 두고 반영된 데 따른 것으로, 한전 수익 구조 악화에 직격탄이 되는 고유가·고환율 환경으로 인해 4분기에는 다시 6000억 원대 영업손실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이 이익을 내지 못하는 건 한전 관련 공급사들의 실적도 좋지 못하다는 얘기다.

소폭의 전기요금 인상으로 실적이 반등한 업체가 있을 만큼 하청업체들은 민감하게 반응한다.

지난해까지 한전 전기요금이 동결되면서 적자를 계속하던 전력 관련 제품을 납품하는 B 업체는 전기요금 인상 이후 숨통이 트였다.

B 업체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늘어나고 이익이 개선된 전력 관련 제품을 공급해 상반기 누적 매출액이 지난해 200억 원대에서 올해 345억 원으로 껑충 뛰었다. 영업이익도 20억 원이 넘는 적자에서 10억 원대 흑자로 돌아섰다.

B 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한전 예산이 없어서 재고 판매를 못 했는데 연초 정상화되면서 매출로 이어졌다”라며 “전기요금 못 올리면서 매출 행위를 못했었는데 전기요금이 정상화되면 연간 흑자도 나올 수 있게 됐다”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전 재무구조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킬로와트시(kWh)당 평균 10.6원을 인상한 산업용에 이어 전반적인 전기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