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외제차 판매 부진에 수입 공급 9.2%↓…역대 최대 감소폭

입력 2023-11-10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조업 국내 공급 4분기째 감소…경기둔화ㆍ고물가 영향

(사진제공=뉴시스)

올해 3분기 제조업 국내 공급이 경기 둔화와 고물가에 따른 수요 부진 여파로 4개 분기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중 수입 공급이 외제차 수입 감소 등으로 9% 넘게 줄었다.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전 분기 통틀어 역대 최대 감소폭이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3년 3분기 제조업 국내 공급 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제조업 국내 공급지수는 101.6(2020년=100)로 전년동기대비 4.1% 줄었다.

이로써 제조업 국내 공급 지수는 작년 4분기(-0.2%)를 시작으로 4분기째 감소세를 지속했다.

제조업 국내 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외국에서 수입해 국내에 공급한 제조업 제품의 가액(실질)을 나타낸 것으로, 내수 시장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제조업 국내 공급지수 중 국산 공급은 기계장비와 반도체, 컴퓨터, 전자부품 등 전자·통신 중심으로 1.4% 줄었다. 4분기 연속 감소세다.

수입 공급은 전자·통신,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9.2% 줄어 2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9.2% 감소는 관련 통계 작성이래 전 분기 통틀어 가장 큰 감소폭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수출 등 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 감소로 전반적으로 국내 공급이 줄었고, 특히 수입 공급 급감은 고물가 여파로 자동차 판매가 부진해지면서 외제차 수입이 크게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3분기 자동차 수입은 전년보다 12.4% 줄었다. 이는 2021년 4분기(-15.4%) 이후 7분기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제조업 공급을 재별로 보면 최종재(소비재+중간재)가 기계장비 등 국산(-2.2%)과 자동차 등 수입(-10.5%)이 모두 줄어 전년대비 4.9% 줄었다.

중간재는 전자·통신 등 국산(-1.2%)과 1차금속 등 수입(-8.1%)이 모두 줄어 3.2% 감소했다.

3분기 수입 공급이 크게 줄면서 제조업 제품 국내공급 중 수입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27.3%로 전년대비 2.4%포인트(p) 하락했다. 2분기 연속 비중 감소다.

최종재의 수입점유비는 전년대비 3.0%p, 중간재는 2.1%p 각각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전자·통신, 화학제품, 1차금속, 자동차 등의 수입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모두 줄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