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전략] 코스피, 상승 출발 예상…덜 매파적 FOMC 영향

입력 2023-11-02 08: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일 전문가들은 국내 증시가 상승 출발할 것으로 내다봤다. 덜 매파적인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로 인한 미국 증시 강세와 달러 및 금리 하락 등 호재성 이슈가 긍정적이란 분석이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 코스피 지수는 0.7~1.2% 내외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 증시의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지만, 이 흐름이 국내 증시에도 이어질 것이란 막연한 기대는 조심스럽다. 지난 6월 중순 13조3000억 원을 기록했던 외국인의 연초 이후 순매수 규모는 전일 4조7000억 원으로 약 6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9%, 17% 정도나 하락했다.

결국 중요한 건 국내 증시에 대한 외국인의 러브콜이 다시 이어지느냐의 여부다. 전일 10월 수출 데이터가 우호적으로 나온건 맞지만 추세적 전환이라고 보기에는 어렵고 간밤 매그니피센트7을 중심으로 상승을 주도했지만 실적 발표를 한 여러 기업의 전망과 제조업PMI 부진 등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한지영·김지현 키움증권 연구원 = 금일에는 예상보다 덜 매파적이었던 11월 FOMC로 인한 미국 증시 강세, 달러 및 금리 하락 등 우호적인 대외 호재성 재료에 힘입어 상승 흐름을 보일 전망이다.

업종 측면에서는 AMD(9.7%)의 낙관적인 데이터센터 매출 제시로 인한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2.3%) 강세가 국내에서도 반도체 등 IT 업종에 대한 수급 환경을 개선 시켜줄 것으로 예상한다.

전일 발표된 한국의 10월 수출은 5.1%로 컨센(6.3%)은 하회했으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10월 ISM 제조업 PMI(46.7)도 컨센(49.0)에 미치지 못했다는 점은 직관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증시는 미국 데이터를 놓고 "Bad news is good news" 장세에 놓여있다는 점을 감안 시, 최근의 금융 불안과 더불어 미국 경기 모멘텀 둔화가 증시에 중립 이상의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더 나아가, 지난 한국의 전반적인 수출이 7월을 기점으로 감소폭을 축소하면서 13개월만에 처음으로 증가 전환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또 세부 품목 상으로도 반도체, 자동차, 기계 등 주력 업종들의 수출 실적도 호조세를 보였다는 점도 이들 업종에 대한 실적 전망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