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세조선 워크아웃 중단...C&重 전철 밟나(종합)

입력 2009-05-22 19:06수정 2009-05-22 19: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감원 중재 불구 은행-보험사 이견 못 좁혀

채권은행과 보험사간 '진통'을 거듭해 왔던 진세조선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 결국 무산됐다.

특히 막판 금융감독원까지 나서 채권금융기관들의 이견을 좁히기 위해 노력했으나 그마저도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채권은행 진세조선 회생 외면(?)

진세조선의 주채권은행인 국민은행 관계자는 22일 "진세조선 워크아웃 플랜에 대해 25% 이상 동의를 얻어내지 못해 워크아웃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국민은행은 이날 840억원의 신규자금 지원과 수주선박의 공동관리 등을 골자로 하는 경영정상화방안을 상정, 서면결의 형태로 채권단 표결에 부쳤으나 결국 부결됐다.

국민은행 기업경영개선부 관계자는 "금감원에서 중재로 협의를 했지만 보험사들의 입장을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이날 상정된 안건의 골자는 진세조선에 840억원의 신규자금을 지원하고 건조된 선박을 공동관리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지난달 부결된 4차 안건과 크게 다를 바 없는 것이어서 애초부터 채권기관들의 동의를 이끌어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견됐었다.

이에 메리츠화재와 흥국화재, 한화손해보험 등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한 보험사들은 수주된 선박의 개별관리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회생방안을 요구해 왔다.

하지만 이들 보험사의 채권비율은 31.5%에 불과해 주채권기관인 국민은행을 비롯한 은행권이 반대하는 한 채권단 75% 이상 동의를 끌어내기는 애초부터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에 대해 메리츠화재보험 관계자는 "국민은행이 우량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고 회생가치가 충분한 진세조선의 경영정상화를 외면하고 있다"면서 "특히 보험사측이 '수주선박 개별관리'라는 절충안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상정조차 하지 않는 것은 불합리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진세조선은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됐던 대한조선이 녹봉조선과는 비교하기 힘들만큼 기술력과 회생가치측면에서 탁월하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하지만 애초부터 추가자금 지원에 미온적이었던 채권은행들의 반대로 결국 진세조선의 워크아웃이 무산되면서 은행의 공적기능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거질 전망이다.

◆진세조선 회생방안 없나

결국 워크아웃이 중단된 진세조선은 현재로서는 다른 대안을 찾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향후 진세조선이 택할 수 있는 방안은 크게 3가지다. 금융권의 추가적인 자금지원이 어려운 만큼 ▲법정관리 신청 ▲매각 추진 ▲파산 절차 등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진세조선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파산 절차에 돌입할 가능성은 낮으며 C&중공업처럼 자체적인 회생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인식이다.

한 보험사의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진세조선이 법정관리나 매각 또는 파산 절차를 밟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C&중공업처럼 자체적인 회생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는 C&중공업 채권기관들이 자체적인 회생을 지원하기 위해 채권 행사를 보류하고 있는 것처럼 진세조선 채권기관들의 협조가 필수적이어서 장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워크아웃이 무산된 만큼 채권기관들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자금 지원보다는 워크아웃 중단을 통해서라도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했던 채권은행들은 법정관리를 적극 요구하고 나설 것으로 보인다.

결국 진세조선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든지 아니면 자체적인 회생의 길을 선택하든지 매우 힘겹고 암울한 미래가 불가피해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