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국민통합위 정책제언에 '반성'…"정책집행 이어졌는지 돌이켜볼 것"

입력 2023-10-18 17: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민통합위원회 만찬에서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가 활동으로 제안한 여러 가지 정책 제언들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반성'을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통합위가 꼽은 아젠다에 대해 "정서적으로 공감하는 자세로 내각과 당이 움직여 나가는 게 통합의 밑거름"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17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민통합위와 만찬 회동 당시 "혼자 어떻게 할 수 없는 지속적인 어려움을 국가가 외면해서는 실질적인 국민 통합을 이루기 어렵다"며 국민통합위가 구조적이고 지속적인 어려움, 경제적인 측면, 제도 또는 규제 등에 따른 어려움을 파악해 실질적인 정책적 성과로 창출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전문성만 갖고 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어려움을 우리가 공감해야 된다. 국민통합위에서 제시한 정책 제안보다 더 나은 정책 방향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국민통합위가) 이 아젠다를 뽑은 것에 대해서도 우리가 정서적으로 공감을 하는 자세로 내각과 당이 움직여 나가는 것이 그게 통합의 밑거름"이라고 강조했다.

국민통합위와 만찬 회동에는 김한길 국민통합위 위원장과 1·2기 민간위원뿐 아니라 국민의힘 당 4역(김기현 당 대표, 윤재옥 원내대표, 이만희 사무총장, 유의동 정책위의장), 국회 상임위원장 및 간사 등도 참석했다. 이달 11일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이 패배한 뒤 윤 대통령이 처음 당 지도부와 만나는 자리였다.

윤 대통령은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한 듯 "1기 통합위에서 내놓은 다양한 정책 제언들을 우리 당과 내각에서 관심 있게, 정말 아무리 바쁘더라도 자기가 관심 있는 분야들, 또 자기가 담당한 분야들에 대해서는 꼼꼼하게 한번 읽어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만찬 당시 정책제안서를 100부 추가 인쇄해 여당인 국민의힘으로 전달, 정책에 반영하라는 지시도 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올해 8월 25일 국민통합위 1주년 성과보고회에서 '정책제안서를 국무위원들에게 70부 인쇄해 전달하라"고 말한 바 있다.

이는 만찬 당시 윤 대통령이 "국민통합위 활동과 정책 제언들은 저한테도 많은 어떤 통찰을 줬다고 확신한다. 다만 그것이 얼마나 정책 집행으로 이어졌는지는 저와 우리 내각에서 좀 많이 돌이켜보고 반성도 좀 많이 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연장선상의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8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반성'이라는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해 "우리가 보통 경제 활동에서 이야기한 바가 있지만 정치에서는 '민심은 천심', '국민은 왕'이라고 늘 새기고 받드는 지점이 있다. 이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고 부연해 설명하기도 했다.

이 밖에 윤 대통령은 "삶이 어려울 때 국가에서 또 좀 더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나서서 그 어려움을 함께 도와주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 사람이 완전한 자유인으로서 정말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저는 그것이 연대"라고 말했다.

이어 "자유와 연대라는 것은 국가주의적인 개념이 아니라 그야말로 연대 없는 자유 없고 또 자유 없는 연대는 공허한 것, 그래서 자유를 지키기 위해서도 우리가 연대해야 되고 그 연대의 가치를 잘 찾아 우리가 해야 될 일이 뭔지를 잘 찾아내는 것이 그동안 국민통합위의 일이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우리가 앞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분들을 도대체 어떻게 도와드려야 되는지, 우리 헌법 가치가 거기에 어떻게 적용돼야 되는 것인지를 찾아야만 헌법 가치가 공허한 메아리가 아니라 국민이 우리 헌법을 사랑하고 아끼고 이것만이 나를 지켜줄 가치라는 것에 다 공감을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위가 1기 활동 때 주요 과제로 추진한 '이주민과의 동행', '자살위기 극복' 등을 언급하며 관련 정책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윤 대통령은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자살 등 정신 건강 관련 예산이 3000억 원이라는 점도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