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中 저성장 경고…“일본의 잃어버린 30년 닮아가”

입력 2023-10-16 16: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와타나베 히로시 前 재무성 장관 경고
"7~8년 사이 中 관심사 경제→정치"
국제통화기금도 中 저성장 기조 우려
"중국 경제정책, 대가 치를 수 있다"

일본 재무성 장관을 역임한 국제통화 전문가를 비롯해 국제통화기금(IMF) 등이 잇따라 중국의 저성장 기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내놓고 있다. 이들 모두 중국 경제의 ‘일본화(化)’를 지적하는 한편, 유연하고 면밀한 경제 정책을 주문했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의 환율정책을 책임(재무성 장관)졌던 ‘와타나베 히로시(渡辺博史)’ 국제통화연구소 이사장은 “시진핑 국가주석 체제 아래 중국은 경제에서 정치로 관심을 전환했다”고 평가했다.

히로시 이사장은 로이터 통신을 통해 “중국의 경제정책 입안자들은 2015년까지 일본식 자산 거품 붕괴를 막는 방안을 끊임없이 연구했다”라며 중국 정부의 전략적 경제정책의 근간은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2015년 이후 사정이 달라졌다. 히로시 이사장은 “2015년 이후로 그들(중국 정책 입안자)은 멈췄다”라며 “지난 7~8년 사이 중국은 그동안 배우고 익혔던 일본경제의 저성장 역사를 간과하고 있다”라고 우려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중국 정부의 경제정책 및 현황과 관련해 히로시 이사장과 유사한 평가를 했다.

IMF는 “중국이 대가를 치를지도 모른다”라며 “현재는 인플레이션은커녕 디플레이션 기조마저 보인다”라고 우려했다.

실제로 지난 9일부터 이날(15일)까지 모로코에서 열린 IMF와 세계은행회의에서 글로벌 경제 성장을 가로막는 위험 요인 가운데 하나로 '중국의 저성장 기조'를 손꼽았다.

일본의 환율정책 책임자와 IMF가 한목소리로 중국의 저성장을 우려하는 배경에는 세계 2위 경제 대국 일본이 겪었던 저성장 기조의 여파가 그만큼 컸기 때문이다. 현시점에서 일본을 닮은 중국의 저성장은 향후 세계 경제 전반에 걸쳐 적잖은 파문을 일으킬 것으로 우려된다.

IMF는 세계 경제전망에서 올해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 5.2%에서 5.0%로 하향 조정했다. 나아가 중국의 '부동산 위기'가 심화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내년에는 4.2%로 성장률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일부 일본의 정책 입안자 역시 일본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중국)의 장기 침체가 수출 의존적인 (일본)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사히 노구치 일본은행 이사는 로이터 통신을 통해 "중국이 일본과 비슷한 상황으로 가고 있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라면서도 "중국 경제의 중추인 부동산 부문이 침체 중기고, 인플레이션이 약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