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래 최대폭 치솟은 국제유가…반격 후 추가상승 우려

입력 2023-10-10 15: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WTI 전 거래일 대비 4.34% 급등
최근 6개월 변동 폭 가운데 최대
이스라엘 총리 "보복 공격" 공언
확산하면 '추가 상승'은 불가피

(그래픽=이투데이)

국제유가가 6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으로 비축 수요가 급증한 탓이다.

이스라엘이 강한 응징을 공언한 만큼, 사실상 확전은 불가피. 확전하면 단박에 배럴당 100달러 선을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진다.

9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무력 충돌 소식에 국제유가가 급등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3.59달러(4.34%) 오른 배럴당 86.38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런던ICE상업거래소의 북해산 브렌트유 11월물 가격도 전장 대비 3.58달러(4.23%) 뛴 배럴당 88.16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국제유가는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해 러시아의 감산 정책 탓에 90달러에 육박했다. 이번 분쟁으로 석유의 변동성이 더욱 커졌다는 게 월가의 분석이다.

세계 석유 공급에서 이스라엘의 역할은 제한적이지만, 이미 15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이번 공격 탓에 미국과 이란이 연루될 가능성이 크다. 보복이 시작될 경우 확전은 불가피. 결국, 보복 공격과 함께 국제유가가 급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수요가 급증하는 것 이외에 지정학적 리스크가 국제유가 상승을 부채질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주요 산유국의 감산 이외에 운송이 쉽지 않다. 원유 대부분이 주요 국가로 이동하면서 분쟁 지역을 거쳐 가는 탓이다.

하마스를 지지하는 이란이 대표적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란 정부가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는 선박을 위험에 빠뜨리거나, 조사를 이유로 이들을 붙잡아 놓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놨다.

호르무즈 해협은 하루 평균 약 1700만 배럴, 전 세계 원유 물동량의 20%가 지나가는 길목이다. 이란은 2011년에도 미국의 제재에 반발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겠다고 위협한 전례가 있다.

한편 이란은 이번 하마스 공격에 자신들이 연루되지 않았다며 부인한 상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