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7년까지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수출 기업 21개 육성

입력 2023-10-05 0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300억 원 R&D 투자로 핵심기술 42개ㆍ39개 서비스 개발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전략'을 사전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제공=해양수산부)
정부가 2027년까지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수출 기업을 21개(현재 7개) 육성한다. 또 42개 핵심기술과 39개 서비스개발을 위해 2300억 원을 투자한다.

해양수산부는 5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최근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으로 선박의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선박을 더욱 안전‧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변화시킬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시장은 연평균 8%씩 성장해 2027년에는 약 14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발전 가능성 또한 크다.

이에 해수부는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강소 수출기업 육성과 6조5000억 원 규모의 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키로 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200억 원 규모의 해양신산업 펀드를 활용해 유망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2027년까지 2300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해 지능항해장비 등 42개의 디지털 핵심기술과 선박 탄소배출량 저감 서비스 등 39개의 상용화 서비스를 개발한다.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전략 주요 내용. (해양수산부)
또 국내 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제항로에서의 다국적 실증과 해외인증 취득 비용(50~70%)을 지원하며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활용해 잠재시장인 개발도상국 시장으로의 진출 기회도 지원한다.

정부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는 ‘바다내비’ 서비스를 개방형 공간정보체계(오픈플랫폼)로 제공해 민간기업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디지털 선박 건조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정책(최대 1.0%포인트(p))‧민간금융(최대 2.4%p)의 금리우대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차세대 디지털 장비개발 등 전문인력 100명과 디지털 선박 운용인력 1만10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2027년 매출 100억 원 이상 강소 수출기업을 21개 육성하고 핵심기술 42개를 확보해 세계 시장에서 6조5000억 원(세계시장 점유율 4.5%, 현재 1.1%)의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조승환 장관은 “우리나라 해운‧조선산업이 가진 경쟁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 육성을 통해 우리나라의 수출과 경제 성장을 굳건히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