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명절 노린 스미싱 문자 조심하세요"

입력 2023-09-21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 불분명한 문자 URL이나 전화번호 클릭 말아야
피해 의심되면 112나 '보이스피싱 지킴이'에 신고

(자료제공=금융위원회)

추석 명절을 앞두고 택배 배송이나 교통범칙금 조회를 사칭한 문자사기(스미싱)나 지인 명절인사 등으로 위장한 메신저 피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주의가 요구된다.

21일 금융위원회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스미싱 피해나 메신저 피싱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피해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3년간 스미싱 피해 현황을 분석하면 택배 배송 사칭 유형이 28만 건으로, 전체의 약 65%를 차지했다. 올해 추석 연휴에도 명절기간을 전후해 가족 친지, 지인 간 선물배송이 증가하는 상황을 악용하는 스미싱 문자가 다량 유포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코로나 엔데믹으로 외부 활동이 늘어나면서 건강검진, 교통 범칙금 등 공공기관 사칭(작년 1만7726건→올해 8월 7만3364건)이나 청첩장, 부고장 등 지인을 사칭하는 유형(작년 4건→올해 8월 7만3364건)이 올해 급증했다. 또 추석을 앞두고 고향 방문 등 차량 이동 증가를 틈탄 교통위반 범칙금 조회나 안부인사 등을 사칭하는 악성 문자도 지속 유포될 것으로 보고 있다.

메신저앱을 통해 가족, 지인을 사칭해 긴급한 상황이라며 금전이나 상품권, 금융거래 정보 등을 요구하는 메신저 피싱 피해도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공격자가 원격조종이 가능한 악성 앱이 설치되면 상당한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국민들은 전화, 영상통화 등으로 상대방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전에는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상대방의 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정부는 국민들이 추석 연휴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관계부처들과 협력해 24시간 사이버 안전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스미싱 감시와 사이버 범죄 단속을 중점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추석 연휴 기간 스미싱 대응을 위한 24시간 탐지체계를 운영하고, 신고·접수된 스미싱 문자 정보를 분석해 피싱 사이트, 악성 앱 유포지에 대한 긴급 차단조치에 나선다.

또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내 PC와 모바일 기기의 정보보안 수준과 취약점을 점검할 수 있도록 '내PC·모바일 돌보미' 서비스를 제공한다.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은 금융권과 공동으로 문자사기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집중 홍보기간을 운영한다. 피해 예방 방법과 피해 발생 시 대응 요령을 포스터, 리플렛, 만화 영상 등으로 제작해 국민들에게 배포한다.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주소(URL)를 잘못 클릭할 때 직면하게 되는 상황을 체험형 콘텐츠로 개발해 스미싱 문자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예정이다.

이밖에 명절 연휴 중 문자사기 의심 문자를 수신했거나, 악성 앱 감염 등이 의심되면 112나 '보이스피싱지킴이'에 신고하면 24시간 무료로 상담 받을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