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튀르키예·인도까지...머스크에 테슬라 공장 유치 ‘러브콜’ 쇄도

입력 2023-09-19 16: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WSJ “사우디 테슬라 공장 유치 논의…코발트 공급 보장”
튀르키예·인도 각축…머스크 “연내 새 공장 부지 결정”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6월 16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비바 테크놀로지 콘퍼런스’에 참석하고 있다. 파리/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신공장 유치를 위해 세계 각국이 뜨거운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사우디아라비아가 테슬라와 자국 내 전기차 생산 거점 건설을 위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는 테슬라 공장 유치를 위해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코발트 공급을 보장하겠다는 안을 제시했다. 사우디 국부펀드(PIF)는 세계 코발트 공급의 약 70%를 책임지는 콩고민주공화국과 합작 사업을 논의하고 있다.

다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해당 소식에 대해 “오보”라고 일축했다.

해당 보도는 튀르키예, 인도 등 세계 각국이 테슬라 공장 유치를 위해 앞다퉈 경쟁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전날에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한 계기로 머스크 CEO를 만나 자국 내 테슬라 공장을 지어달라고 요청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사업 등에 협력할 준비가 됐다”고 어필했다.

인도 역시 머스크 CEO를 만나 테슬라 공장 건설을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6월 미국에서 머스크 CEO와 회동했으며, 당시 인도에 저가 전기차 생산 공장을 짓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머스크 CEO는 올해 말까지 새 공장을 지을 부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현재 전 세계에 6개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멕시코 북부 누에보 레온 주에 7번째 공장을 건설 중이다. 머스크 CEO는 전기차 판매량을 지난해 130만 대에서 2030년 2000만 대로 늘리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