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부조금 7만3900원”…20대 8만8100원→50대 6만7000원 [해피엔딩 장례]

입력 2023-09-19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②-2. 받는 이도, 주는 이도 부담되는 '부조문화'

연령대 오르고 고학력일수록 “부조문화 부정적”
저연령 ‘화장후 봉안’, 고연령 ‘화장후 자연장’

▲8월 서울의 한 대학병원 장례식장에서 상복을 입은 유족들이 복도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정유정 기자

우리나라 국민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현재의 장례문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이 생각하는 적정 부의금(평균)은 7만3900원이었다.

18일 본지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부조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20대 이하에서 16.9%, 30대에서 23.6%, 40대에서 22.6%에 머물렀으나 50대와 60대 이상은 각각 39.4%, 38.1%에 달했다. 교육수준별로는 고졸 이하와 초대졸이 각각 24.6%, 25.2%였으나, 대졸과 대학원졸 이상은 각각 31.1%, 37.1%였다. 전반적으로 연령대가 오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부조문화를 부정적으로 바라봤다.

부조문화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도 연령대별로 달랐다. 부조문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 중 40대 이하에선 ‘부조문화가 장례비용 거품을 조장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50대 이상에선 ‘부조문화가 조문객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들에게 부의금이 얼마가 적당한지 물었더니 평균 7만3900원으로 조사됐다. 다만 적정 부조금액은 연령대가 오를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적정 부조금액에 대한 평균값이 20대 이하는 8만8100원, 30대는 7만9600원, 40대는 7만1000원, 50대와 60대 이상은 각각 6만7000원, 6만8500원이었다. 특히 50대 65.7%는 5만 원 이하를 적정 금액으로 봤다.

장례식의 의미에 대해선 전반적으로 ‘고인을 애도하는 의미’라는 답변이 많았으나, 비율은 연령대·교육수준별로 차이를 보였다. 50대와 60대 이상은 각각 69.9%, 67.8%였는데, 20대 이하는 57.6%에 머물렀다. 대신 ‘유가족을 위로하는 의미’란 답변이 늘어났다. 30대는 이 비율이 29.1%로 60대 이상(18.8%)보다 10.3%포인트(p) 높았다. 교육수준별로는 학력이 높을수록 ‘고인을 애도하는 의미’란 답변이 줄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의미’라는 답변이 늘었다.

바람직한 장례방식으로는 연령대가 낮을수록 ‘화장 후 봉안(납골)시설 안치’, 높을수록 ‘화장 후 자연장’ 응답이 많았다. 60대 이상은 49.0%가 자연장, 20대 이하는 48.3%가 봉안시설 안치를 꼽았다. 매장(묘지) 비율은 20대 이하에서 8.1%로 60대 이상(2.9%)보다 5.2%p 높았다.

장례문화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는 연령대다. 교육수준의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거주지역이나 주거형태, 가족형태, 고용·종사상지위에 따른 인식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령대가 높다는 건 장례식장 방문 경험이 많고, 본인의 장례도 가까워졌음을 뜻한다. 부조문화, 봉안·매장은 가족·지인들에게 경제적 부담이 큰 장례방식이다. 부조문화, 봉안·매장에 대한 거부감이 크다는 건 장례를 ‘특별한 일’보단 ‘일상’으로, ‘남의 일’보단 ‘내게도 닥칠 일’로 인식하고 있단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반대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장례식장 방문 경험이 적다. 본인의 장례도 먼 미래다. 직접경험보단 간접경험을 토대로 인식이 형성됐을 가능성이 크다.

상주문화와 관련해선 성별·교육수준별 차이가 두드려졌다. ‘지금처럼 배우자나 장자(또는 장손)가 상주를 맡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는 항목에 남성의 24.5%가 동의했지만, 여성은 11.3%만 동의했다. ‘성별과 무관하게 모든 자녀가 상주가 되어야 한다’는 데에는 여성의 동의율이 47.7%로 남성(32.2%)보다 15.5%p 높았다.

교육수준별로는 고졸 이하와 초대졸에서 각각 21.3%, 22.1%가 ‘장자 상주’에 동의했지만, 대졸과 대학원졸 이상은 이 비율이 각각 15.9%, 13.3%에 머물렀다. 특히 대졸과 대학원졸 이상에선 절반 이상이 ‘상주를 정하는 데 가족관계에 따라 우선순위를 둘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구시대적 상주문화 자체가 사라져야 한다’고 답했다.

가족형태별로는 3대 이상 가구에서 34.8%가 ‘장자 상주’에 동의했다. 2대 이하 가구에선 이 비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여론조사는 7월 1일부터 7일까지 온라인 패널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방식은 구조화한 설문지를 활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웹 조사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p)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