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아이폰 금지령’에 이틀째 급락…시총 267조 원 증발

입력 2023-09-08 08: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애플 이틀 연속 하락세…주가 2.92%↓
지난해 중국 매출 애플 전체 약 20% 차지
“아이폰 금지령 국영기업까지 확대”

▲2020년 3월 14일 미국 뉴욕 브루클린 매장에 애플 로고가 걸려 있다. 브루클린(미국)/AP뉴시스

중국이 국영 기업과 정부 기관에서 아이폰 사용 금지를 확대한다는 소식에 2000억 달러(약 267조1000억 원)에 가까운 애플 시가총액이 이틀 만에 사라졌다.

7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애플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92% 하락한 177.56달러로 집계됐다. 전날 3.6% 떨어진 데 이어 이틀 연속 하락했다. 시가총액은 2조7760달러로 줄어들면서 이틀 만에 1897억 달러가 날아갔다.

중국의 아이폰 금지령은 애플에 불길한 신호다. 투자자들은 세계 2위 경제 대국에서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이 흔들리는 상황에 불안해하고 있다.

중국은 애플의 최대 해외 시장이다. 지난해 중국 매출은 애플 전체의 약 5분의 1을 차지했다. 애플은 국가별 아이폰 판매량을 공개하지 않지만,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트는 2분기 중국 판매량이 미국보다 많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애플은 대부분의 아이폰을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중앙 정부 공무원들에게 채팅 메신저나 회의를 통해 아이폰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페트로차이나)를 포함한 국영 기업까지 금지 조치가 확대됐다고 전했다.

중국이 자국 통신장비기업 화웨이의 스마트폰을 밀어주기 위해 아이폰 금지령을 내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달 말 화웨이는 ‘메이트 60 프로’라는 신형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애널리스트들은 “중국 정부가 아이폰 금지 조치를 내린 타이밍이 흥미롭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