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모시기 어렵네”…공사비 증가·사업성 악화에 시공사 선정 난항 겪는 조합

입력 2023-09-04 15: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의 한 공사현장 전경 (이투데이DB)

최근 시공사 선정을 두고 골머리를 앓는 정비사업 조합이 늘고 있다. 자재비 상승으로 시공사들의 정비사업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수주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서다. 특히 소규모 정비사업장의 경우 응찰자가 없어 수차례 유찰되는 사례도 빈번하다. 이에 일각에서는 사업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주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경북 포항시 북구 학산동 코오롱아파트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은 1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모집 공고를 다시 냈다.

이곳은 지난달에도 한 차례 시공사 선정 공고를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정작 수주를 원하는 시공사가 단 한 곳도 없어 유찰됐다. 해당 사업은 철거를 포함해 지하 2층~지상 29층, 285가구를 짓는 프로젝트다. 조합은 이달 14일까지 시공사 선정 입찰을 다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경기 수원시 장안구 율전동 장미6차아파트 소규모재건축정비사업조합은 7월 2차 시공사 선정을 진행했지만, 입찰을 원하는 시공사가 없어 또 유찰됐다. 앞서 조합은 6월에도 한 차례 시공사 선정에 나섰지만 실패한 바 있다. 해당 사업은 지하 4층~지상 15층, 2개 동, 143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조합 관계자는 “1차와 2차 시공사 선정 당시 현장 설명회에는 각각 1곳, 3곳의 시공사가 참석했다. 그러나 정작 입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며 “이제는 시공사 선정을 위해 건설사들을 직접 찾아 읍소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서울 역시 시공사 선정에 난항을 겪고 있다. 단독 응찰에 수의계약을 진행하는 단지도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무궁화신탁이 시행하는 강북구 미아동 강북3재정비촉진구역은 지난달 시공사 선정을 진행했지만, 현장설명회 참여 업체 부족으로 유찰됐다. 앞서 7월에도 한 차례 진행한 바 있는데 당시에도 참가 업체가 적어 선정하지 못했다.

양천구 신정동 신정수정아파트는 9일 시공사 선정 총회를 진행한다. 이곳은 앞서 5월과 6월 입찰 공고를 냈지만, 각각 무응찰과 단독입찰로 모두 유찰됐다. 이에 조합은 수의계약으로 시공사를 정한다는 계획이다.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르면 일반 경쟁입찰 시 2회 이상 유찰되면 조합이 수의계약할 수 있다. 금호건설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시공사들은 최근 원자잿값과 인건비 상승으로 정비사업의 사업성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서대문구 북아현2구역, 홍제3구역 등 일부 조합에서는 시공사와 공사비 인상을 두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계약 해지 절차까지 밟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시멘트, 철근 등 자잿값과 인건비가 오르면서 사업성이 급격하게 떨어졌다”며 “공사비 인상이 불가피하고, 사업성이 떨어지는 곳들은 과감히 포기하는 선별 수주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사비 갈등이 늘면서 검증을 요청하는 조합도 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올해 공사비 검증을 요청한 정비사업장은 현재까지 전체 13곳으로 집계됐다. 공사비 검증 요청 건수는 △2020년 13건 △2021년 22건 △2022년 32건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건설사들의 선별 수주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소규모 정비사업지에서 타격이 더 크다. 이에 일각에서는 제도 개선에 대한 목소리도 냈다.

한 정비사업 조합 관계자는 “소규모 재건축의 경우 부지는 작고 세대수는 많아 원칙적으로 수익성이 떨어진다. 이에 일반 분양이 적어 조합은 부담이 많고, 시공사는 수주를 꺼린다”며 “시장 원리로는 맞을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전반적으로 서민 주거환경이 낙후되는 곳이 많아지는 구조적인 문제가 생긴다. 종 상향이나 용적률을 올려주는 방법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