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위원장 "삼성 지배구조 개선 해법 찾는 중"
김우진 삼성 준법감시위원이 2020년 5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4세 경영 승계 포기 선언을 유도한 것을 위원회 활동의 가장 큰 업적으로 꼽았다.
김 위원은 29일 준감위가 공개한 '2022년 연간 보고서'를 통해 "재벌 그룹의 승계 이슈 관련해서 사회적으로 관심이나 감시의 정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많은 일이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인 김 위원은 2020년 2월 준감위 출범 이후 지금까지 1ㆍ2기에 걸쳐 4년째 활동하고 있다. 이찬희 2기 위원장(전 대한변호사협회장)을 포함한 7명의 위원 중에서 가장 오랜 기간 활동을 이어왔다.
김 위원이 언급한 4세 승계 포기 선언은 2020년 5월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된 혐의로 재판을 받던 이 회장이 "저와 삼성을 둘러싸고 제기된 많은 논란은 근본적으로 승계 문제에서 비롯된 게 사실"이라며 "이제는 경영권 승계 문제로 더 이상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아이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한 것이다.
김 의원은 "이 회장의 발언에 진정성이 있다고 본다"며 "다만 회사가 총수의 지배력 없이도 제대로 운영될 수 있는 현실적인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는 점 등 실제로 살펴볼
쟁점들이 많이 있다"고 했다.
김 위원은 '호암상'의 명칭을 '삼성 호암상'으로 바꾼 것도 기억에 가장 남는다고 밝혔다.
그는 "호암상을 처음 만들 때는 범(汎)삼성가인 CJ, 신세계 등에서도 출연을 했기 때문에 삼성 이름 대신 호암이라는 이병철 창업회장의 호를 썼다"며 "지금은 CJ, 신세계는 빠지고 삼성 일부 관계사에서 기부하는 돈으로만 상을 운영하므로 삼성 일반 주주 입장을 고려한다면 삼성을 빠뜨릴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삼성이 절차를 거쳐 결국 명칭을 바꾸어 준 점에 대해 지금도 뜻깊게 생각하고 있다"며 "단순히 상 이름을 바꿨다기 보다 어떻게 보면 지배주주 일가에 가려져 있던 일반주주의 권리에 주의를 기울이게 된 상징적인 예라 할 수 있어 이 사례를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설명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준감위는 보고서를 통해 삼성의 지배구조 개선 문제를 꾸준히 논의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기도 했다.
이찬희 위원장은 발간사에서 "삼성은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의 분리를 거의 대부분 관계사에서 실천하고 있고 사외이사를 비롯한 이사회 권한 강화, 50%가 넘는 여성
사외이사의 비율 등 수평적 지배구조의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면서도 "수직적 지배구조의 개선과 관련해서는 아직도 명쾌한 해법을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수직적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준법감시위원회와 회사 모두 다양한 모델을 연구 검토하면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2020년 1월 30일 설립된 준감위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생명보험, 삼성화재해상보험 등 삼성의 7개 관계사들에 대한 준법감시활동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