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발표
생성형 인공지능(AI)이 한국의 기업 생산 현장에 적용된다면 잠재적 생산역량이 최대 620조 원 증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마이크로소프트, 엑세스파트너십과 28일 발간한 ‘생성형 AI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생성형 AI를 통해 우리 경제의 잠재적 생산역량을 최대 4673억 달러(약 620조 원) 늘릴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의 29%에 해당하는 수치다.
잠재적 생산역량은 한 경제가 가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해 만들 수 있는 최대한의 생산량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생성형 AI가 업무 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로 ‘금융·보험업’(10.1%),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산업’(9.6%), ‘정보산업’(8.1%), ‘도매업’(7.1%),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산업’(6.7%) 등을 꼽았다.
금융·보험업은 전체 업무영역의 10.1%가량이 생성형 AI 적용에 따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특히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거나 복잡한 작업이 필요한 산업에서 생성형 AI가 더 큰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대한상의는 생성형 AI가 전산업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되면서 상당수 근로자의 업무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 전체 근로자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67%가 업무 활동의 5~20%에 생성형 AI를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체적으로는 ‘업무 활동의 0~5% 적용’이 전체 근로자의 32%로 가장 많았고, 이어 ‘10~15% 적용’이 24%, ‘15~20% 적용’이 22%, ‘5~10% 적용’이 21%로 집계됐다. ‘20% 이상 적용’이 예상되는 근로자 비중은 전체의 1%에 그쳐 생성형 AI의 활성화가 일자리 대체 요인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생성형 AI의 성공적 적용을 위한 당부도 내놓았다. 우선 기업 측면에서는 현재 기술 중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부분과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 기술이 무엇인지 파악해 이에 대한 향상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분석적 판단, 유연성, 감성 지능이 AI 기반의 미래에서 가장 필수적인 역량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프라이버시 침해 등 기술의 부정적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생성형 AI 사용 토대 마련을 위한 데이터 수집·관리 및 공유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정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생성형 AI의 안정적 활용을 위해서는 제도적 인프라 구축을 위해 민관이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며 “생산성 향상과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해 국부 창출에 이바지하게끔 발전적 방향으로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