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만으론 부족해...푸틴, 루블화 방어에 자본통제 칼 빼드나

입력 2023-08-17 14: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통화 통제 회의 소집…외화수입 의무매각 재개 논의
환율, 전쟁 전 70→100루블로 뛰어

▲16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모스크바 크램린궁에서 정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모스크바/타스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루블화 약세 방어를 위해 정책 입안자들과 자본통제 조치 도입을 논의했다.

16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통화 통제 회의를 소집해 재무 관리들과 루블화 약세 방어를 위한 외화수입 의무매각 재개 등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출기업 등 대외경제활동(무역) 참가자들에 해외에서 확보한 외화 수입의 최대 80%를 90일 이내에 판매하도록 강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정부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다.

그밖에도 해외 배당금 송금 및 대출 연장 금지, 수입 보조금 폐지, 통화 스와프 제한, 해외로 반출할 수 있는 금액 축소 등의 방안이 제안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회의는 전날 기준금리 인상에 이어 추가 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기존 8.5%에서 12%로 3.5%포인트(p) 올렸다. 해당 조처는 지난달 금리를 1%p 올린 데 이어 한 달 만에 두 번째 금리 인상이었다. 미국 달러화당 루블화 가치가 1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중앙은행이 행동에 나섰다. 루블화 가치는 올해 들어 26%나 하락했으며, 심리적으로 중요한 장벽인 달러당 100루블을 넘어서기도 했다.

금리 인상에도 시장 불안이 가시지 않자 푸틴이 직접 나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가 이처럼 통화 가치 방어를 위해 총력을 다하는 이유는 루블화 가치 하락이 인플레이션과 경제난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실제로 러시아에서는 통화 가치 하락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면서 최근 석 달간 인플레이션율이 평균 7.6%에 달했다. 이는 러시아 정부가 제시한 목표치인 4%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러시아는 지난해 2월 자본 통제 조치를 도입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루블화 가치 추락을 막은 전례가 있다. 루블화 가치는 작년 2월 중순만 해도 달러당 70루블 선에서 거래되다가 침공 직후 서구권의 제재 등에 따라 달러당 130루블까지 폭락했다. 러시아는 금융 안정을 위해 이날 논의된 것과 비슷한 조치를 펼쳤다. 이에 힘입어 루블화 가치는 지난해 6월 7년 만에 최고치를 찍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