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봄학교' 2학기 2배 이상 늘어난다..."특별교부금 300억 지원"

입력 2023-08-17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장교원 업무경감 최우선...기간제교사·자원봉사자 등 인력 지원"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9일 충남 천안 불당초등학교에서 열린 늘봄학교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초등학교서 원하는 시간대에 돌봄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늘봄학교가 2학기부터 기존 214개에서 459개로 2배 이상 늘어난다. 정부는 현장 교원들로부터 늘봄학교 때문에 업무가 가중된다는 지적이 나왔던 것과 관련해 기간제교사와 자원봉사자 등 인력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는 2학기 들어 부산·인천·대전·경기·충북·충남·전남·경북 등 8개 시도교육청에서 늘봄학교 시범 운영을 확대 실시한다고 17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경기(80→154개교), 전남(43→50개교)에서 늘어나며, 부산(50개교), 충북(42개교), 충남(72개교)은 시범운영 교육청으로 추가 선정됐다. 인천 30개교, 대전 20개교, 경북 41개교는 1학기와 동일하게 운영된다.

교육부와 시범교육청은 늘봄학교 정책은 확대하지만 학교와 현장교원의 업무경감을 최우선으로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늘봄학교 때문에 교원들의 업무가 과중된다는 지적이 현장 교원들로부터 꾸준히 나온 바 있다.

교육부는 교육청 센터에 전담 공무원 101명, 희망하는 학교를 대상으로 기간제교사 328명, 행정인력 107명, 자원봉사자 216명 등 다양한 인력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총 300억 원의 특별교부금을 2학기에 추가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늘봄학교 프로그램의 질을 끌어올리기 위한 사업도 마련됐다. 교육부는 대학·공공기관·기업·전문기관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민·관 참여형 체제구축 사업'을 신규 추진하고, 연말에 '늘봄학교-교육기부 박람회' 개최를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늘봄학교 운영체제 구축과 전담 인력 확보를 위한 '늘봄학교지원특별법'(가칭) 제정도 추진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방과후·늘봄지원센터 구축, 아침·틈새·저녁돌봄 등 탄력적 돌봄 제공, 돌봄대기 해소 등 늘봄학교 전국 확산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왔다.

향후 교육부는 학교현장 의견수렴을 거쳐 11월 중으로 2024년 늘봄학교 단계적 확산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번 정부에서 늘봄학교를 시범 도입해 사교육비와 학부모 양육 부담을 대폭 경감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 교육격차도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면서 “보다 많은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당초 2025년에서 전국 확산 시기를 1년 앞당기는 방안을 시도교육청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