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구급대 중증도 분류기준 도입…응급실 수용거부 기준도 수립

입력 2023-08-04 11: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복지부, 중앙응급의료정책추진단 4차 회의 개최…병원 전 중증도 분류기준 도입계획 등 논의

(이투데이 DB)

정부가 하반기부터 119구급대의 병원 전 중증도 분류기준(Pre-KTAS)을 도입한다. 또 지역별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기준 수립을 지원한다.

보건복지부는 중앙응급의료정책추진단 4차 회의를 열어 △병원 전 중증도 분류기준 도입계획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기준 △응급실 미수용 개선대책을 논의했다.

먼저 응급실 이송체계 개선을 위해 하반기부터 119구급대의 병원 전 중증도 분류기준을 도입하고, 전국 17개 지역응급의료협의체를 통해 지역별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기준과 맞춤형 이송지침 수립을 지원한다. 중증도에 따른 종별 역할 명확화 등 응급의료기관 전달체계 개편은 하반기 시범사업 수행지역 공모를 통해 추진한다. 앞서 정부는 최종치료 역량 강화와 전달체계 개편을 위해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중증·응급 수술·시술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고, 상급종합병원 지정기준을 개선했다.

이 밖에 정부는 경증환자로 인한 응급실 과밀화 해소를 위해 중증도에 맞는 응급의료기관 이용을 안내하고, 응급실 이용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Self-Triage’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한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응급의료는 국민 생명과 직결된 대표적인 필수의료 분야로, 응급의료 긴급대책의 남은 과제를 조속히 추진해 응급환자가 적시에 적정 응급실을 찾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