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전기차 소재 PFC 사업 누적 수주액 5000억 달성

입력 2023-07-31 14:46수정 2023-07-31 15: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일본ㆍ유럽ㆍ북미 등 수주 확대

▲PFC 탑재한 전기차 배터리 플랫폼 모형. (사진제공=두산)

두산의 전기차 소재 PFC(Patterned Flat Cable) 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두산은 신사업인 전기차 소재 PFC로 일본, 유럽, 북미 등에서 5000억 원의 누적 수주액을 달성했다고 31일 밝혔다.

PFC는 전기차 배터리 최소 단위인 셀을 연결하는 소재로 회로가 형성된 연성동박적층판(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FCCL)에 절연 필름을 입혀 코팅 처리해 만든다. PFC는 △과전류 시 해당 전장품을 관리하는 부품(퓨즈) △회로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부품(서미스터) 등을 회로에 패턴으로 새겨 내재화했으며 차량의 별도 공간에 설치되는 배터리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도 내부에 실장했다.

통상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30% 이상 무겁다. 전기차의 배터리 평균 무게가 400~450㎏이고,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배터리 용량을 늘리면 무게도 비례해서 늘어나게 된다. 차량이 무거우면 사고 발생 시 피해도 커질 뿐만 아니라 국내에선 자동차 무게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기계식 주차장을 이용할 수 없다. 이 외에도 소모품 마모 가속화, 도로 노면 악화 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전기차 경량화는 업계 주요 과제 중 하나다.

PFC는 전기차 배터리 외에도 도어, 시트, 루프 케이블 등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 구리전선)에 비해 무게와 부피를 80% 이상 감소시켜 차량 경량화, 원가절감, 주행거리 증대가 가능하다. 두산의 PFC는 세계 최초로 롤투롤(Roll-to-Roll) 제조 공법을 개발해 전기차 전장 길이 3m까지 대응할 수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은 PFC가 2026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8조 원 규모까지 성장이 전망되는 전기차용 와이어링 하네스 시장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두산은 지난해 베트남 하이정에 PFC 생산설비를 구축해 제품을 양산하고 있으며, 생산량을 기존 대비 2배 이상 확대하기 위해 공장 증설을 진행 중이다. 또한, 두산은 PFC 매출 목표인 2024년 500억 원, 2025년 1000억 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두산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만큼 파트너사들과 견고한 협업 체계를 구축해 일본, 유럽, 북미 등에서 수주를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