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하교 뒤 곧바로 Hagwon”…CNN, 수능 ‘킬러 문항’ 조명

입력 2023-07-03 09: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이란 기자 photoeran@
미 유력 방송사인 CNN이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킬러 문항’(Killer questions)논란을 집중적으로 언급했다.

1일(현지시간) CNN은 홈페이지 대문 화면에 지난해 11월 11일 서울 한 교실에서 대입 수능을 치르는 수험생들의 사진과 함께 ‘한국이 출산율 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8시간짜리 시험(수능)에서 킬러 문항을 없앤다(South Korea is cutting ‘killer questions’ from an 8-hour exam some blame for a fertility rate crisis)’라는 제목의 서울발 기사를 게재했다. CNN은 한국 교육 당국이 킬러 문항을 상대로 칼을 빼든 것은 과도한 사교육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려는 시도라고 분석했다.

CNN은 “한국에서 자녀를 키우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아기가 걷기 시작할 때쯤이면 많은 부모가 이미 사립 엘리트 유치원을 찾기 시작한다”고 전했다. 자녀가 18살이 돼 수능을 치르기까지 부모와 수험생 모두 ‘고되고 값비싼 여정’을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CNN은 한국 학생들이 다니는 학원을 영어로 번역하는 대신 고유명사 ‘Hagwon’으로 표기하면서 “한국에서는 학생들이 학교 수업이 끝나면 곧바로 저녁에 학원에 가고 집에 와서도 새벽까지 공부를 이어간다”며 이러한 세태를 ‘극한 생존 경쟁’(rat race)라고 꼬집었다.

이러한 현실은 학계, 당국, 교사, 학부모가 일제히 교육 불평등과 청소년의 정신적 문제의 원인으로 꼽고 있으며 심지어 출산율 급감의 원인으로도 지목된다고 CNN은 설명했다. CNN은 활동가들을 인용해 “한국은 고착화한 성 규범을 해체하고 일하는 부모를 위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더 깊은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한 트위터 이용자가 “사교육 열풍을 없애는 길은 킬러 문항을 없애거나 수능 난도를 낮추는 게 아니다. 학벌과 상관없이 안전하고 좋은 보수를 받는 직장에서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썼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