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주택 시장 '보합' 우세…'하락' 전망은 35%로 감소

입력 2023-06-29 10: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택 매매 가격 전망, 설문조사 응답 비중 추이 (자료제공=부동산R114)

10명 중 4명이 올해 하반기 주택 가격이 보합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하락 전망은 큰 폭으로 줄었다.

29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가 이달 9일부터 23일까지 전국 2073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주택 시장 전망'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41%가 보합을 예상했다. 하락 응답은 35%, 상승 전망은 24%로 각각 집계됐다. 특히 하락 응답은 상반기 전망 응답에서는 65%로 압도적이었지만, 이번에는 크게 줄었다.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2명 중 1명은 ‘경기 침체 가능성’을 하락의 주된 이유로 선택했다. 그다음 하락 요인으로 ‘대출 금리 인상 가능성(10.91%)’ 응답이 높았지만, 직전 조사에서 30.81% 비중을 나타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많이 감소했다. 최근 금리 동결 지속에 다소나마 안도하는 모양새다. 그 외 하락 요인으로는 △이자 및 세금 부담으로 매도물량 증가(8.56%) △하반기 역전세 이슈 심화(8.15%) 등이 꼽혔다.

매매가격 상승에 대한 응답자는 ‘핵심 지역 고가아파트 가격 상승(25.10%)’, ‘급격한 기준 금리 인상 기조 변화(23.47%)’ 등을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최근 서울 일부 지역이 상승 흐름으로 돌아선 가운데 강남 3구와 용산 등 고가지역이 상승세를 이끄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세가격 전망은 하락(32.71%) 전망이 상승(26.77%)보다 우세하게 나타났다. 반면 월세가격 전망에서는 상승 전망이 42.45% 비중을 차지해 하락 전망(12.83%) 대비 3배 이상 응답자가 많았다. 전세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는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44.40%)’를 주요 이유로 꼽았다.

10명 중 4명은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23.44%)’과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18.28%)’ 등을 2023년 하반기 핵심 변수로 선택했다. 직전 조사에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대한 응답이 1위를 기록했던 점에 비춰보면 하반기에는 소비자가 금리 이슈보다 경기 여건 변화에 더 민감해진 것으로 보인다.

그 외 하반기 주요 변수로는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 환경 변화 여부(16.69%) △전·월세 가격 등 임대차 시장 불안 지속 여부(12.59%) △민간소비 등 국내 실물 경기지표 변화(10.27%) △3기 신도시 등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6.85%) △PF 부실 및 금융권 연체율 상승 가능성(6.75%) 등이 꼽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