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1금융 갈아타기 3.8% 불과…대환대출 통한 저신용자 지원 취지 무색"

입력 2023-06-28 09:22수정 2023-06-28 09: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제공=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실)

지난달 31일부터 시행한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2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한 금액이 3.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금융권 전환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이 5월 31일부터 이달 9일까지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 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체 이동금액(3844억 원) 중 2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갈아탄 금액이 147억 원(3.8%)에 불과했다.

반면 1금융권 내에서 이동한 금액은 3636억 원으로, 전체의 94.6%를 차지했다. 사실상 신용도가 높은 1금융권에만 혜택이 집중된 것이다.

이동 건수 기준으로도 1금융권 내에서 이동 비율은 84.7%(9895건)인 반면, 2금융권에서 전환한 비율은 8.9%(1042건)에 그쳤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기준으로 올해 한도액은 총 1조8667억 원이고, 그 중 14.2%(2648억 원)이 열흘간 전환됐다.

대환대출 취급액 기준으로는 하나은행이 1497억 원(56.5%)로 최대를 기록했고, 토스뱅크 885억 원, 우리은행 762억 원, 카카오뱅크 469억 원 순이었다.

대환대출 건수 기준으로는 토스뱅크가 3515건(34.2%)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은행 2865건, 우리은행 1416건, 카카오뱅크 1266건으로 뒤를 이었다.

김희곤 의원은 "저신용자 연체부담 완화를 위한 대환대출 취지가 무색하다"며 "대환대출 취지대로 2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