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양자과학기술 육성 방향 논의…"경제가치 창출하는 퀀텀 플랫폼 마련"

입력 2023-06-27 16: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윤석열 대통령,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 주재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양자과학기술 석학과의 대화를 주재하고 향후 육성 방향 등을 논의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컨퍼런스홀에서 양자과학기술 분야 주요 석학과 미래세대들이 참석한 가운데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를 주재하고, 양자과학기술이 가져올 미래와 우리가 나아갈 길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대통령실 최상목 경제수석 등이 참석했다. 앞서 이날 DDP에서는 국내 최대 양자 기술 관련 국제 행사인 '퀀텀코리아 2023'이 개막했다.

윤 대통령은 올해 1월 스위스 연방공대 양자 석학과의 대화에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대도약 원년을 선포한 바 있다. '대한민국 퀀텀의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이루어진 이번 대화는 우리나라가 양자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무대에서 활약 중인 양자 석학들과 함께 양자과학기술 분야의 육성 방향을 논의하고 글로벌 생태계 조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대한민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퀀텀 전문가, 법률‧회계‧비즈니스 전문가들이 함께 연구개발하고 성과를 공유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물리 공간인 퀀텀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퀀텀 기술의 막강한 파급력을 고려할 때 지난주 파리 ‘디지털 비전 포럼’에서 제시한 디지털 윤리 원칙 및 규범이 퀀텀기술에도 적용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후 윤 대통령은 행사 참석자들과 함께 2023 퀀텀코리아 행사에 전시된 양자컴퓨터 모형, 양자센서를 활용한 뇌자도 측정 장비 등을 둘러보며 양자과학기술의 현황과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참석자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대화에는 양자 얽힘 실험을 통해 벨 부등식이 위반됨을 확인해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존 클라우저 박사, 최초로 양자 암호 시스템을 구축해 울프상과 브레이크쓰루상을 연달아 수상한 찰스 베넷 박사, 53큐빗급 양자 프로세서로 양자 우위를 최초로 입증한 존 마르티니스 교수 등이 참석했다.

아울러 훔볼트상 수상자로 지난 스위스 공과대학 양자석학과의 대화에도 참여한 바 있는 김명식 교수, 나스닥 상장기업인 IonQ 공동창업자인 김정상 교수, 양자컴퓨터의 정확도와 신뢰성 검증 방법 개발해 네이처지와 사이언스지에 동시에 논문을 게재한 최순원 교수, 계산오류를 줄인 양자컴퓨터가 슈퍼컴퓨터 능가함을 입증하여 네이처지 6월호 표지를 장식한 김영석 박사 등 양자과학기술을 대표하는 7명의 석학과 우리나라 각 대학에서 양자과학기술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20명, 젊은 연구자 7명 등이 자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