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 가정, 중고등 자녀 학원비에 月 114만 원 쓴다

입력 2023-06-25 19: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능을 5개월 앞두고 정부가 학원 과대·과장 광고 등에 대한 '사교육 카르텔' 집중단속에 나섰다. (고이란 기자)

중ㆍ고등학교 자녀를 둔 고소득 가정이 학원비로 한 달 평균 114만 원가량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계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 중 만13∼18세 자녀가 있는 가구의 월평균 학원ㆍ보습 교육 소비 지출은 100만20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사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가구(학원ㆍ보습 교육비 소비지출이 없는 가구)를 제외하면 월평균 학원비는 114만3000원이었다. 이는 청소년 자녀를 둔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지출인 653만 원의 17.5%에 달하는 금액이다.

이들 가구의 월평균 식료품ㆍ비주류 음료 소비 지출은 63만6000원, 주거ㆍ수도ㆍ광열비 지출은 53만9000원이었다. 자녀의 학원비가 가족 전체의 밥값과 주거비를 합한 비용과 비슷하다는 의미다.

같은 조건인 4분위 가구 중 자녀가 사교육에 참여한 가구의 학원ㆍ보습 교육비 지출은 84만9000원, 3분위 가구는 63만6000원이었다.

식료품ㆍ비주류 음료 지출은 4분위 가구가 56만7000원, 3분위 가구가 51만8000원이며 주거ㆍ수도ㆍ광열비는 각각 39만2000원, 45만5000원이었다.

한편 경제 형편이 넉넉하지 않은 가구 또한 학원비에 많은 돈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ㆍ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1분위 가구 중 자녀가 사교육에 참여한 가구의 1분기 월평균 학원ㆍ보습 교육비 지출은 48만2000원으로 식료품ㆍ비주류 음료 지출(48만1000원)이나 주거비 지출(35만6000원)보다 많았다.

2분위 가구 또한 학원비(51만5000원) 지출이 식료품비(46만5000원)나 주거비(41만7000원)보다 많았다.

다만 이는 가구별 가중치를 반영하지 않은 단순 평균값이라 실제 수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서울 양천구 목동 학원가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사교육비가 가장 많이 드는 과목은 영어였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공동으로 조사한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 달에 영어에 쓰는 사교육비 지출이 평균 12만3000원으로 주요 과목 중 가장 많았다. 이어 △수학 11만6000원 △국어 3만4000원 △사회ㆍ과학 1만8000원 △논술 1만3000원 순이었다.

지역별 사교육비 편차도 컸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사교육비 지출이 월평균 59만6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경기(44만6000원)와 대구(43만7000원), 세종(41만8000원)이 뒤를 이었다. 사교육비가 가장 낮은 전남의 지출은 26만1000원으로, 서울의 절반 이하였다.

사교육 참여율 역시 서울이 84.3%로 가장 높았다. 경기와 세종이 각각 82.1%, 80.5%로 뒤를 이었다. 서울 초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91.2%에 달했다.

성적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이 많은 경향도 드러났다. 고등학교 학생 중 학교 성적이 상위 10% 이내인 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은 59만 원이었다.

상위 11∼30%인 학생은 54만5000원, 31%∼60%인 학생은 47만8000원을 각각 사교육비로 썼다. 61∼80%인 학생은 41만 원, 81∼100%인 학생은 32만3000원을 사교육비로 지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