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유한킴벌리와 손잡고 폐핸드타월 재활용 추진

입력 2023-06-25 11: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시가 유한킴벌리와 손잡고 공공기관 최초로 폐핸드타월 재활용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26일 서소문 1청사에서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과 손승우 유한킴벌리 지속가능경영부문장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25일 밝혔다.

시는 유한킴벌리와 이번 협약을 통해 폐핸드타월 수거 및 재활용 체계를 마련하고 순환경제 활성화 및 탄소 저감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식품의약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종이 핸드타월 연간 생산량은 2019년 6만3058톤, 2020년 6만5643톤, 2021년 7만0701톤으로 매년 4~7%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유행 등으로 손씻기가 생활화한 영향이다.

물기만 닦은 깨끗한 핸드타월은 올바른 분리배출을 통해 우수한 품질의 재생지로 활용될 수 있지만, 대부분 일반쓰레기로 버러져 전량 소각 또는 매립되고 있다.

시는 핸드타월 재활용을 통해 자원을 절약하고,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감축 효과도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간 약 2만640kg의 핸드타월을 재활용하면 연간 온실가스 1만2182kg를 감축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는 30년생 중부지방 소나무 약 1,900여 그루가 1년 치 탄소흡수량에 해당하는 양이다.

시는 연말까지 약 6개월간 청사에서 사용한 핸드타월을 수거해 재활용할 예정이다. 총 33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신청사 및 서소문 1청사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결과를 분석해 서울시 산하기관, 자치구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인근 기후환경본부장은 “유한킴벌리와 함께 진행하는 공공기관 최초 폐핸드타월 재활용 사업이 자원순환 민관협력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제로웨이스트 서울 실현을 위해 폐핸드타월 외에도 다양한 자원의 재활용 체계가 잘 구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