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1분기 성적표 낙제… 성장성·수익성·안정성 모두 악화

입력 2023-06-20 12:00수정 2023-06-20 14: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은, 1분기 기업경영분석 발표

(출처=한국은행)
국내 기업들의 올해 1분기 성적표가 낙제점을 받았다. 매출액 증가율은 축소됐고, 수익성은 하락했다.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는 모두 상승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의 대규모 적자 영향이 컸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3년 1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외부감사대상 법인기업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했다. 대내외 수요 위축 등으로 전분기(6.9%)보다 증가율이 축소됐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7.5%→0.7%) 및 중소기업(4.3%→-1.2%)이 모두 감소했다.

업종별로도 제조업(2.6%→2.1%)과 비제조업(12.6%→3.6%)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 세부 업종별로는 제조업(2.6%→-2.1%)은 석유화학(-3.5%), 기계․전기전자업(-14.3%), 비제조업(12.6%→3.6%)은 전기가스업(19.8%), 운수업(-5.9%) 등을 중심으로 증가율이 줄었다.

기업들의 총자산증가율 역시 1.9%로 전년동기(3.7%) 대비 증가율이 축소됐다.

기업의 수익성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은 2.8%에 그치며 전년동기 6.3%보다 하락했다. 한은은 "판매가격 하락 등으로 전년동기보다 수익성이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제조업(8.4%→2.5%)은 기계·전기전자(12.4%→-3.1%)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반도체 가격이 내려가며 재고자산평가손실이 발생한 탓이다. 비제조업(4.0%→3.2%)은 해운운임 하락에 따른 매출 감소로 수익성이 저하된 운수업(17.7%→10.8%)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6.6%→2.4%)과 중소기업(5.3%→4.7%) 모두 이익률이 전년동기와 비교해 줄었다.

재무 안정성 지표의 경우 부채비율은 95%로 전분기(92.1%)보다 상승했다. 차입금의존도 역시 외부차입 증가에 따라 전분기 25.3%에서 1분기 26%로 올랐다.

한편, 한은은 매출액증가율과 안정성지표(부채비율 등)는 전분기 수치와 비교하고, 총자산증가율과 수익성지표(매출액영업이익률 등)와 같이 계절성이 있는 지표는 전년동기 수치와 비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