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홍수 가능성 커…환경부, 기상청·수자원공사와 피해 예방 '총력'

입력 2023-06-19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인명피해만 30명…윤 대통령 "중요한 것은 인명 피해 막는 것"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9월 7일 제11호 태풍 힌남노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시 한 아파트를 방문, 침수된 주차장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8월 집중호우로 17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다. 곧바로 9월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덮쳐 11명이 사망하는 재난까지 발생했다. 30명의 인명피해를 낸 물난리는 지방자치단체, 개별 기관 등의 예방책을 넘어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정부는 올해 여름 홍수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인지,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홍수 대응에 나서고 있다.

환경부는 19일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홍수대책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 주재로 기상청, 유역 환경청, 홍수통제소, 한국수자원공사, 국립공원공단,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한국환경공단 등 홍수 대응 관련 기관이 참석했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달 10일 '홍수 피해 방지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홍수 방어 시설 강화에 올해에만 6000억 원을 투입하는 등 선제 대응 태세를 갖춘다. 홍수 취약 지구 390곳을 지정해 지구별 맞춤형 대책도 마련한다. 서울 광화문과 강남역에는 대심도 빗물 터널이 건설을 건설하고, 힌남노에 냉천이 범람한 경북 포항시에는 항사댐 짓는다.

이와 함께 홍수 예보를 고도화하고 맞춤형 홍수정보를 제공한다. 이미 지난달부터 도림천 유역에서 시범 운영 중인 인공지능(AI)·디지털트윈(가상모형) 기반 도시 침수예보를 내년까지 경북 포항시, 경남 창원시, 광주 등으로 확대한다.

또 강 본류뿐 아니라 지류·지천까지 홍수예보가 이뤄지도록 예보지점을 현재 75곳에서 2025년까지 223곳으로 늘리고 AI를 활용해 예보 시점을 '6시간 전'으로 현재보다 2배 이르게 앞당긴다. 전국 홍수정보 제공 지점은 574곳으로 2020년(409곳)보다 165곳 늘었다.

▲2023년 여름철 홍수대책 주요내용 (자료제공=환경부)

정부가 이처럼 홍수 피해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은 올해 홍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는 페루 등 동태평양 표층 수온이 평년에 비해 높아지는 기후 현상인 엘니뇨가 예상보다 일찍 발달하면서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강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열대 중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서 대류 활동이 활발해지고 이곳에서 동아시아로 저기압성 순환과 고기압성 순환이 번갈아 발생하는 대기 파동이 유발된다. 이에 우리나라 주변에 저기압성 순환이 강화되면서 남쪽에서 수증기가 다량 유입될 수 있다.

기상청이 최근 3개월 전망에서 7월 강수량이 평년 치와 비슷하거나 많을 것으로 내다봤다는데 이 전망의 근거가 엘니뇨였다.

올해 홍수 피해 가능성이 커지자, 윤석열 대통령도 인명 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이달 13일 국무회의에서 "재난안전대책을 준비하고 취약계층에 대해 보다 세심한 관리와 대책을 마련해 달라"라며 "중요한 것은 인명 피해를 막는 것이다. 위험지역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고, 위험지역으로부터 신속한 대피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한 여름철 재난 안전대책을 꼼꼼히 점검하고 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환경부는 이날 '홍수대책 점검회의'를 통해 인명피해 예방과 밀접한 과제들을 중점 점검했다.

유역 환경청에서 관리 중인 홍수취약지구 390곳의 대책 추진 상황과 지역주민과의 협의체 운영 상황을 살펴보고, 응급 복구와 관련된 지자체 및 국토관리청과의 협력 방안 등도 논의가 이뤄졌다.

이어 홍수통제소에서 올해 시범 운영 중인 서울 도림천 도시침수예보와 포항 냉천 홍수예보와 관련해 예측정보의 활용을 위한 지자체와의 협력 사항을 점검하고, 예측 모형 검증 및 고도화 등 향후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수자원공사는 홍수기 중 댐 운영 방안에 대해 보고했다. 16일 기준 전국 20개 다목적댐에서는 평균 약 648mm의 비가 내려도 댐 방류 없이 모두 저장할 수 있는 약 74.7억㎡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고 있다. 환경부는 홍수기 중 태풍 및 집중호우 대응이 상시 가능하도록 적정한 수위를 유지할 계획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기상 상황에 따라 탐방로 통제 등 선제적으로 조치한다.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은 하천에 홍수 피해가 발생할 경우 원인을 신속히 조사해 조사 결과와 대책을 홍수통제소에 공유할 계획이며, 한국환경공단은 홍수기 중 공공하폐수시설 긴급복구지원반을 운영하여 신속한 피해복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한 장관은 "인명피해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관계기관간 긴밀한 협조를 기반으로 철저히 대응해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