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입주율 상승 지속…지방은 60%대 정체

입력 2023-06-13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아파트 입주율·미입주 사유 (자료제공=주택산업연구원)

서울의 아파트 입주율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90%에 가까워졌다. 하지만 지방은 여전히 60%대에 머물렀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5월 전국 입주율은 66.7%로 전월보다 0.1%p 하락했다.

전체적으로는 큰 변동이 없었지만, 지역별로는 편차가 나타났다. 수도권은 75.7%에서 80.1%로 4.4%p 높아졌고 5대 광역시는 64.4%에서 65.4%로 1%p 상승했다. 반면 기타지역은 65.1%에서 62.7%로 2.4%p 하락했다.

수도권 중에서는 서울(81.9→86.7)이 4.8%p, 인천·경기권(72.6→76.7)은 4.1%p 상승했다. 비수도권은 5.1%p 오른 대구·부산·경상권(61.2→66.3)을 제외하고 모두 떨어졌다.

주산연은 "서울 입주율이 3월 76.2%에서 빠르게 회복되고 있어 지금과 같은 추세가 유지된다면 이전 입주율 수준을 곧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의 2020~2022년 상반기 평균 입주율은 93.3%다.

지방은 60%대 낮은 입주율에 정체돼 있어 장기침체에 진입할 우려가 있다고 내다봤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 주택 매각지연이 4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세입자 미확보(26%), 잔금 대출 미확보(20%), 기타(8%) 순이었다.

6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국적으로 0.1p(85.6→85.5) 하락했다. 수도권은 1.1p(86.2→87.3) 올랐고 광역시와 도지역은 각각 0.4p(84.0→83.6), 0.3p(86.5→86.2) 떨어졌다.

부산(76.1→90.0)과 세종(84.6→100.0)이 각각 13.9p, 15.4p 상승하면서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지난달 급격한 하락에 따른 조정으로 풀이된다.

반대로 대전(106.2→81.2, 25.0p)과 울산(87.5→73.3, 14.2p)은 지수가 크게 하락했다. 대전은 지난달 지수 급등에 따른 조정으로 보이고 울산은 약 3000가구 입주 시점 도래, 아파트 가격 약세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주산연은 "정부의 규제 완화, 거래량 증가, 기준금리 동결, 시중은행 금리 인하 등으로 주택사업자들의 시장회복 기대감이 조성돼 입주전망지수는 상승 추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