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10억 명 비만…함께 살찌는 치료제 시장 [스페셜리포트]

입력 2023-05-30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0lbs(파운드, 약 14kg) 감량했다. 단식, 그리고 위고비(Wegovy)로.”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몰라보게 달라진 외형의 비결로 꼽은 노보 노디스크의 새로운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없어서 못 파는 약으로 떠올랐다. 한 달 비용이 1350달러(약 178만 원)에 달하지만, 헐리우드 스타들과 부유층이 체중 감량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품절 대란을 일으켰다.

신약의 등장으로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은 급속히 팽창하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2020년 25억 달러(3조3000억 원)이던 이 시장은 2022년 100억 달러(13조2000억 원) 규모로 커졌다. 전문가들은 치료제의 보험 적용 여부에 따라 5년 후인 2027년에는 최소 170억 달러(22조5000억 원)에서 최대 1000억 달러(132조 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전 세계 비만 인구 역시 인종과 국가를 막론하고 늘어나는 추세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비만 인구는 1975년 이후 지금까지 3배 이상 증가했다. 성인 비만 유병률이 42%에 육박하는 미국에만 이미 1억 명이 넘는 비만 환자가 존재한다. 세계비만재단은 전 세계 비만 인구를 9억8800만 명(2020년 기준)으로 집계했다.

국내도 코로나19를 겪으며 증가세가 더욱 가팔라졌다. 질병관리청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만19세 이상 성인의 비만 유병률을 2021년 기준 37.1%로 나타났다. 남성의 비만 유병률은 2011년 35.1%에서 2021년 46.3%로 급증, 전체 유병률을 대폭 끌어올렸다.

이에 국내 비만 치료제 시장도 해마다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2018년 968억 원에서 2019년 1341억 원으로 1000억 원을 처음 돌파했고, 지난해 1757억 원으로 성장하며 2000억 원 고지를 바라보고 있다.

항암제를 제외한 질환별 치료제 시장의 성장세가 5% 전후에 머무르는 가운데 비만 치료제는 홀로 두 자릿수 성장세가 예상되는 유망한 시장이다. 그만큼 개발사에는 막대한 수익을 가져다줄 예정이다. ‘삭센다’에 이어 ‘위고비’를 시장에 안착시킨 노보 노디스크는 올해 가장 많은 신규 수익을 올릴 제약기업으로 꼽힌다. 위고비의 대항마로 거론되는 ‘마운자로’를 개발한 일라이 릴리도 마찬가지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비만 치료제 시장을 이끌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이 마냥 구경만 하는 것은 아니다. 유한양행과 LG화학 등 굵직한 회사들이 노다지를 캐기 위해 뛰어들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