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CJ대한통운과 버려진 종이로 ‘재생박스’ 생산 성공

입력 2023-05-15 13: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SK에코플랜트와 CJ대한통운, 태림포장은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SK에코플랜트 본사에서 국내 산업용지 및 포장재 산업의 선도기업인 태림포장과 ‘종이자원의 독립 순환체계 구축 및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사진은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센터 대표(왼쪽 첫번째), 안재호 CJ대한통운 이커머스 본부장(왼쪽 두번째), 정병채 태림포장 부사장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제공=SK에코플랜)

SK에코플랜트가 CJ대한통운, 태림포장과 손잡고 재생박스 생산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SK에코플랜트와 CJ대한통운, 태림포장은 CJ대한통운의 물류센터에서 버려진 종이자원을 재생박스로 생산해 다시 CJ대한통운 물류센터로 공급하는 ‘완결적 자원순환체계(Closed Loop)’ 시스템을 구축하고 첫 시제품 생산에 성공했다.

완결적 자원순환체계는 폐기물을 회수 후 재활용해 다시 배출한 기업의 생산 자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기존 ‘생산-배출’의 선형구조와 달리 ‘생산-배출-생산’의 사이클 개념이다. 이번 시제품에는 자원순환의 의미를 담아 ‘Closed Loop Recycling’라는 문구도 표기했다.

완결적 자원순환체계는 SK에코플랜트의 폐기물 및 자원순환의 전 과정 처리 플랫폼인 ‘웨이블(WAYBLE)’을 활용해 자원순환 과정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즉, 공급받은 재생박스가 언제, 어디서 배출된 자원을 활용했는지 알 수 있는 셈이다.

실제 이번 시제품은 지난 4월 10일부터 13일까지 용인 소재 CJ대한통운 물류센터에서 수거된 종이자원으로 만들어졌다. 수거한 종이자원은 압축공정을 거쳐 태림포장에서 재생박스로 재생산했고, 이 재생박스는 다시 CJ대한통운 군포 물류센터로 공급됐다. 향후 전국 400여 개 CJ대한통운 물류센터로 시스템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약 5000톤 가량의 종이자원을 재활용 할 것으로 기대된다.

▲버려진 종이자원으로 생산된 재생박스 (사진제공=SK에코플랜)

SK에코플랜트는 CJ대한통운과 지난 2월 ‘폐자원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웨이블 적용을 통해 폐기물 관리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해왔다. 종이자원의 완결적 자원순환체계 구축을 추진해온 결과 이번 시제품 생산까지 성공하게 됐다.

두 회사는 이번에 구축한 완결적 자원순환체계의 지속적인 확대를 위해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SK에코플랜트 본사에서 국내 산업용지 및 포장재 산업의 선도기업인 태림포장과 ‘종이자원의 독립 순환체계 구축 및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도 맺었다.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센터 대표는 “이번 사례는 웨이블 플랫폼이 폐기물 관리 영역을 넘어 자원순환체계를 구축하고 실행 역량을 증명한 데 의미가 크다”며 “완결적 자원순환체계 범위를 이번 종이자원뿐 아니라 플라스틱 등 다른 폐기물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