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ESG는 뉴노멀…3분기내 ESG공시제도 로드맵 발표”

입력 2023-05-12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투자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3차 릴레이 세미나서 강조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정부서울청사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금융위원회)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2일 "2025년부터 도입되는 ESG 공시 단계적 의무화와 관련해 기업, 투자자,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금년 3분기내로 ‘국내 ESG 공시제도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진행된 ‘금융투자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3차 릴레이 세미나’를 통해 “글로벌 추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기업과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ESG 공시제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ESG 공시’와‘퇴직연금’은 우리가 지속가능한 경제라는 뉴노멀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짚어보아야 할 주제”라며 이와 관련한 정부의 제도개선 방향에 대해 밝혔다.

ESG공시제도 로드맵에는 △ESG 공시 의무화 대상기업, △국내 ESG 공시기준, △제3자 검증체계에 대한 내용이 담길 예정이라는 설명이다.

김 부위원장은 “ESG 공시 의무화 대상기업의 경우, 2025년 자산 2조 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부터 시작해서, 자산 1조원(2027년), 자산 5000억원(2029년), 전체 코스피 상장사(2030년)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라며 “이다. 또한, 코스닥 상장사의 경우에도 자산 규모가 큰 대형사를 중심으로 ESG 공시 의무화 도입 필요성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기업들에 적용될 ESG 공시기준의 경우, 초기에는 거래소 공시체계 하에서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된 기후 분야를 중심으로 공시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ESG 공시정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독립 기관의 검증을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검증기관에 대한 규율체계도 마련해나가겠다고 전했다.

퇴직연금과 관련해서도 최근 300조를 돌파한 퇴직연금 적립금이 실질적인 노후소득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적립금 규모를 레벨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올해 상반기중으로 퇴직연금 운용규제 개선을 추진해나가겠다”며 “정부는 그간 퇴직연금이 보다 적극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디폴트옵션, 적립금운용위원회 도입 등 제도개선을 추진해 왔으며, 퇴직연금 활성화를 위한 추가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퇴직연금 운용 시 투자 가능한 상품을 확대하고, 적립·운용된 퇴직연금이 연금 형태로 인출되어 퇴직연금의 노후소득 보장 기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