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윤리 징계위‧쇄신 의총...리스크 극복할까

입력 2023-05-04 17: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민의힘 태영호 최고위원이 3일 국회에서 녹취 파문, 후원금 쪼개기 의혹 관련 입장 발표 후 기자회견장을 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태영호 최고위원의 녹취록‧쪼개기 후원 논란과 돈봉투 의혹 등으로 녹록치 않은 상황을 맞이했다. 양당은 징계 절차 개시와 쇄신 의총 등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섰지만, 즉각 효과를 볼지는 미지수다.

태 최고위원은 공천 녹취록 파문과 쪼개기 후원 의혹으로 논란의 중심이 됐다. 국민의힘에서는 김재원 최고위원 리스크에 이어 또다시 최고위원 반박 기자회견을 열어 정면돌파에 나섰다.

태 최고위원은 3일 기자회견에서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이 정무수석과는 최고위원 발언 방향이나 공천에 대해 어떤 대화도 나누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주장했다. 또 쪼개기 후원에 대해서는 “너무나 황당해 말이 나오지 않는다”며 “시·구의원들 후원은 쪼개기에 해당하지도 않으며 시·구의원들이 언론에 자발적으로 후원한 것”이라 설명했다.

그러나 당일 국민의힘 윤리위원회는 긴급회의를 열고 그의 ‘제주 4·3은 북한 김일성의 지시’ 발언에 이번 녹취 유출 파문 등을 합쳐 징계 절차를 밟기로 했다. 윤리위 병합 심사는 김기현 대표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당내 분위기도 냉랭하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4일 CBS라디오에 출연해 “정부와 대통령실 그리고 당에 다 큰 부담을 준 것”이라며 “책임도 어쨌든 본인 의원실 사람들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이 1차적 원인이기 때문에 태 최고위원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이철규 사무총장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태 최고위원이 의혹 제기를 ‘집단 린치’라고 표현한 것에 “개인적으론 공감하기 조금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당 내부에서도 오히려 빠른 징계 절차 개시가 결단력 있는 선택이란 의견이 있다. 국민의힘 한 초선의원은 “김재원 최고위원 논란에 이어 또 문제가 된 것인데, 전과 달리 이번에는 빠른 문제 해결에 나선 것”이라며 “리스크라고 하기도 어렵다. 윤리위에서 문제를 적절히 판단해 그에 따라 징계나 결론이 나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한 중진의원은 “의원들의 자유로운 발언의 기회를 빼앗아버리는 것 같아서 답답한 면이 있다”며 “무슨 말만 하면 징벌로 이어지는 것은 좋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YONHAP PHOTO-2807> '돈봉투 의혹' 윤관석·이성만 탈당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된 윤관석·이성만 의원이 3일 오전 국회에서 탈당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3.5.3 [연합뉴스TV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2023-05-03 13:12:18/<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이어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이 터진 민주당도 리스크 관리가 급하긴 마찬가지다. 3일 돈봉투 의혹 피의자인 윤관석, 이성만 민주당 의원은 정치자금법 위반 등의 혐의로 검찰 압수수색을 당한 지 21일 만에 탈당을 결정했다.

민주당은 두 사람의 탈당으로 부담을 덜긴 했지만, 수사 진행 중인 데다 추가로 연루된 의원들이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3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1박 2일 쇄신 워크숍을 열자는 등 다양한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내에선 쇄신 워크숍 등 다양한 방안을 자유롭게 논의하는 것은 긍정적이라는 분위기다. 다만 돈봉투 의혹과 관련해 당의 조치에 있어 일관된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민주당 한 중진의원은 “원칙과 기준이 필요하다”며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기준을 세워야 국민들이 수용하는 리스크 극복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돈봉투 의혹과 관련해서 수사 결과에 따라 적극적 개입, 소극적 개입 등을 나눠 기준을 세워 일관되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당 지도부가 더 결단력 있는 선택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민주당 소속 한 초선의원은 “윤 의원, 이 의원 탈당도 늦은 감이 없지 않다”며 “이 사안의 심각성이 매우 큰 만큼 무력하고 시간을 끄는 모습을 보이기보다는 문제 소지가 있을 때 단호하게 강력하게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