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1% 전망…장기적으로 2%대 수렴”

입력 2023-05-03 15: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은, 금리인하 단시일내 안할 것…내년쯤 시작할 전망”
“한국 금리 수준, 다른 국가 대비 여전히 낮아…신용등급 안정적 유지”
“저축은행과 여전사, 증권사 상업용 부동산PF 위험 노출”

▲3일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진행된 S&P 글로벌 신용평가 기자간담회에서 권재민 S&P글로벌 한국대표가 진행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정성욱 기자)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1.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3일 루이 커쉬 S&P 전무는 이날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올해 한국은 1.1% 성장을 전망한다”며 “최근 경제지표를 보면 일관된 수준 보이고 있는 만큼 이정도가 적당하다고 본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의 경우 당국에서 원하는것만큼 인플레이션이 통제되고 있진 않으나 어느정도 통제되고 있다”며 “한국은행에서 금리인하를 단시일내에 할 것으로 보이진 않고 내년쯤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이어 "인구 변화, 생산성 악화 등으로 과거와 비교해 경제 상황이 어려워질 여지가 있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2%대에 수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출처=S&P 글로벌)

전반적으로 올해는 작년보다 둔화된 성장, 고금리 수준을 유지될 거란 전망이다. 중국의 경우 경제 회복세에 들어섰다고 봤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는 글로벌 수요 약화, 고금리 등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나 대응에 있어 서구권 나라들보다 더 좋은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한국의 금리 수준이 다른 국가 대비 여전히 낮은 만큼 이자 부담을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란 점에서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국가 신용등급 AA)으로 유지됐다.

(출처=S&P 글로벌)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른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위험은 은행이 아니라 저축은행과 증권사, 여전사 등의 신용위험에 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정홍택 S&P 상무는 "지난해 은행은 부동산 PF 익스포져(위험노출액) 규모를 2008년 대비 많이 축소했지만, 저축은행과 여전사, 증권사는 늘렸다"며 "은행과 보험은 아파트 등 비교적 안정적인 PF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지만, 저축은행과 여전사, 증권사는 위험한 상업용 PF에 노출돼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