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자동차보험 한방 진료비 1조5000억 원…4년새 2배 증가

입력 2023-04-23 13: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자동차보험 한방 진료비가 1조5000억 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년새 2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23일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자동차보험 대인배상 한방진료비 현황'에 따르면 자동차보험 대인배상 부상 진료비 중 한방진료비는 2018년 7139억 원에서 2022년 1조4636억 원으로 증가했다. 반면 의과(양방) 진료비는 같은 기간 1조2623억 원에서 1조506억 원으로 감소해 한방진료비보다 규모가 적었다.

보험연구원은 2019년 4월 한방 추나요법이 급여화된 이후 건강보험에서는 사용량 증가율이 2020년 47.3%에서 2021년 3.9%, 2022년 -0.8%로 둔화됐지만, 자동차보험에서는 2020년 18.7%, 2021년 19.0%, 2022년 18.5% 등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자동차보험 전체로는 검사료와 영상방사선 치료비가 연평균 3.3% 감소했지만, 한방병원에서는 연평균 32.5% 급증했다. 특히 같은 기간 상급종합병원(-7.0%), 종합병원(-12.6%), 병원(-5.1%)의 입원 요양급여 비용이 줄어든 데 비해 한방병원의 입원료는 34.7% 늘었다.

자동차보험 입원료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은 연평균 7.0%씩 떨어졌다. 종합병원과 병원도 각각 연평균 12.6%, 5.1%씩 하락했다. 반면 한방 병·의원은 연평균 34.7% 증가했다. 2018년 한방 병·의원 입원료는 757억 원으로 종합병원(1391억 원)은 물론 병원(983억 원)에도 못미쳤지만, 지난해 1851억 원으로 압도적인 규모로 커졌다. 급여화와 일반병상 보유비율 규정 변경으로 1인실 상급 병실이 늘어났고 높은 진료수가를 적용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보험연구원은 "비급여 급여화로 진료비 감소를 기대했지만 자동차보험의 경우 한방 진료 중심으로 진료비가 늘고 있다"며 "이처럼 불필요한 진료에 따른 보험료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