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로] 차라리 대학생 무상급식은 어떨까

입력 2023-04-21 0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학은 마뜩잖은 ‘천원의 아침밥’ 사업…정부 정책이라면 비용도 정부가 부담해야

MZ세대와 기성세대를 가르는 기준으로 다양한 우스갯소리가 떠돌곤 한다. 예를 들어 흔한 가요 제목을 제시하고 어떤 가수를 떠올리는지 비교하는 식이다. 이러한 세대 구분은 성장기에 접했던 문화와 삶의 양식 차이를 반영한다. 요즘 젊은이들과 대화할 때 가장 크게 느끼는 차이 중 하나가 바로 학창시절의 점심시간 풍경이다. 필자의 학창시절 추억에서 도시락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 않다. 밤늦은 시간까지 자율(?) 학습을 해야 했던 고등학교 때에는 도시락 두 개를 싸서 학교에 가는 것이 보통이었다. 바쁘게 등교 준비를 하느라 아침을 건너뛰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 1교시나 2교시를 마친 쉬는 시간이면 도시락 하나를 먹고, 점심때 남은 하나를, 그리고 저녁시간에는 매점에서 컵라면과 빵을 사 먹는 것이 큰 즐거움이었다. 이 글을 보고 과거의 추억을 떠올린다면 이미 기성세대라 불려도 무방하다.

물론 도시락에는 추억만 담겨 있지 않다. 도시락 반찬 통에는 그 집의 형편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 가슴 아픈 기억을 가진 이들도 많기 때문이다. 도시락 반찬을 놓고 일부 아이들이 따돌림을 당하거나, 부모님이 바쁘거나 챙겨줄 여유가 없어 도시락을 싸 오지 못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정확히 언제부터인지 기억나지는 않지만 학교급식이 보편화되면서 이러한 교실의 풍경은 사라졌고, MZ세대의 급식과 관련된 추억으로 대체되었다.

10년 전 급식 예산 지원을 둘러싸고 촉발되었던 친환경 무상급식 논쟁은 모든 학생들이 질 좋은 급식을 공교육의 틀 안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이제 최소한 학생들이 학교에서 먹는 점심식사에서 빈부의 격차는 없어졌다. 모든 학생들이 점심 한 끼만큼은 육류를 포함한 균형 잡힌 식사를 한다. 지난 20년간 시행된 여러 복지정책 중에서 예산 대비 정책 효과가 가장 좋은 프로그램의 하나로 무상급식을 꼽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뿐인가. 우리의 급식은 SNS를 통해 전 세계로 알려지고 있다. 철제 식판에 여러 음식이 고루 담긴 사진들이 한류의 물결을 타고 ‘K-급식’으로 명명될 모양새다.

그런데 이렇게 좋은 점심밥을 공짜로 먹던 학생들은 대학에 와서 제법 큰 값을 치르고 ‘학식’을 먹어야 한다. 최근의 물가 상승으로 가장 기본적인 학식의 가격도 5000원을 넘어서고 있다. 학식의 질도 고등학교 때보다 못하다. 교육청은 각급 학교에 인건비와 관리비를 따로 지원하면서 식료품 구입비로 학생 1인당 4000∼5000원을 지급한다. 대학의 학식 5000∼6000원에는 식재료비뿐 아니라 인건비, 관리비, 위탁업체의 이윤도 포함되어 있으니, 급식의 질이 고등학교 때보다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인지 요즘 캠퍼스에서 학생들의 식사 장소로 가장 붐비는 곳이 편의점이다. 라면이나 삼각김밥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대학생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최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아침을 건너뛰는 많은 대학생들에게 소박하지만 따뜻한 밥을 먹이고, 쌀 소비도 촉진한다는 부수적 효과도 챙길 수 있다. 주머니 사정이 뻔한 대학생들의 큰 호응을 받으면서 정부와 여당 역시 무척이나 고무된 것 같다. 최근 서울시도 1000원을 추가 지원하겠다고 밝히면서 더 많은 대학이 ‘천원의 아침밥’ 사업에 나서기를 독려하고 있다.

그런데 정부와 달리 대학의 입장은 마뜩하지 않다. 5000원 학식에서 정부 지원은 달랑 1000원. 학생이 1000원을 부담하고, 나머지 3000원은 대학이 부담해야 한다. 서울시에서 1인당 1000원을 추가 지원한다 해도 대학이 가장 큰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은 달라지지 않는다. 2009년 이후 등록금이 동결되어 극심한 재정난에 허덕이는 사립대학들이 선뜻 ‘천원의 아침식사’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이다. 고작 1000원으로 생색내는 정부를 보면,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판촉행사를 하며 비용의 대부분을 가맹점에 떠넘기는 모양새와 비슷하지 않은가?

정부의 정책이라면 비용도 정부가 부담하는 것이 상식이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져야 할 대학생들에게 하루 밥 한 끼를 먹이는 것은 어떠한가? 고등학교 때처럼 친환경 무상급식이면 가장 좋겠지만, 대학 구내에서 식당을 경영하는 자영업자들의 입장도 있으니 교내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전자바우처)을 지급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해보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