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3/04/600/20230410153824_1871947_1000_517.jpg)
▲서울 시내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에 매물 정보가 붙어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서울시가 공표 시차를 보름으로 줄인 '서울형 전세실거래가지수'를 만든다. 한국부동산원의 전세실거래가격지수 공표 시차가 45일 이상이란 점을 고려하면 한 달은 빨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10일 서울시 관계자는 "전·월세 물량 예측 정보분석 및 시스템 운영 용역'을 발주했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은 올해 12월까지 진행된다.
이번 용역은 실거래를 기반으로 한 서울시 전세 시장의 최적 지수를 개발하는 게 목표다. 핵심은 거래 신고일을 기준으로 시차를 15일로 줄인 것이다.
부동산원의 전세실거래가지수는 45일 후에나 확인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월 자료는 4월 15일에 볼 수 있다. 하지만 서울형 전세실거래가지수가 만들어지면 3월 15일에 볼 수 있다.
실거래가지수 확인 시점이 빨라지면 임대인과 임차인의 정보 격차가 줄고 전·월세 시장가격 안정화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뉴스
서울시는 주택유형별, 계약유형별, 지역별, 면적별, 건축연한별 지수도 개발할 계획이다.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갱신 비율과 전월세전환율, 매매가격상승률, 주택거래 매물량 등을 반영해 월별 전월세 물량 예측 고도화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