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시진핑과 만나 충분한 지원 확답 못받아”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3/600/20230329162854_1867660_1200_801.jpg)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AP통신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우리는 그(시진핑)를 여기서 만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그와 대화하길 원한다. 나는 (작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전면전이 벌어지기 전 그와 접촉한 적이 있다”면서 “하지만 1년이 넘도록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AP통신은 최근 몇 달 사이 전 세계 주요국 정상들이 잇달아 우크라이나를 방문하고 있지만 정작,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국가 정상인 시 주석은 우크라이나를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시 주석이 이달 20~22일 러시아를 방문한 후 젤렌스키 대통령과 화상 회담을 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지만, 성사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해 미하일로 포돌랴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고문은 지난 23일 자국 언론 인터뷰에서 젤렌스키 대통령과 시 주석의 대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중국 측 입장이 명확히 정리되지 않아 성사되지 않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시 주석은 지난 21일 러시아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만나 전략적 공조를 확인했다. 그러나‘평화 중재자’를 자처한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구체적인 중재안을 도출하지는 못했고, 푸틴 역시 중국으로부터 무기 지원에 대해 확답받지 못했다. 이후 러시아는 25일 동맹국인 벨라루스에 전술 핵무기 배치를 선언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3/600/20230329162855_1867661_1200_801.jpg)
젤렌스키는 최근 격전지인 바흐무트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바흐무트가 러시아군에 함락된다면, 푸틴 대통령은 이 승리를 서방과 자신들의 집단인 중국, 이란에 선전할 것”이라며 “우리가 약하다는 피의 냄새를 맡는다면 계속해서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쟁은 작은 승리, 작은 발걸음이 모이는 것”이라면서 “우리는 이 단계를 잃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흐무트 지역에서 패배한다면 자국 내는 물론이고 우크라이나를 지원해 온 국제 사회가 자신에게 “저들과 타협하도록 강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내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한 회의론이 일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론 드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 등 공화당 인사들은 우크라이나 지원이 미국 국가안보에 있어서 우선순위가 아니라며 군사지원에 회의론을 제기했다. 젤렌스키는 “미국이 우리를 돕지않는다면, 우리가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인터뷰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가로지르는 열차에서 영어로 진행됐다. 그는 최근 격전지와 러시아군 격퇴에 성공한 지역을 방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