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은행권 부동산PF 위험노출 '115조 원' 달해… 연체율도 급증

입력 2023-03-23 11:59수정 2023-03-23 16: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증권사 PF대출 연체율 3.7%에서 9월 말 8.2%로 상승

(출처=한국은행)
비은행권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규모가 확대된 가운데 PF대출 연체율이 오르는 등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3월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비은행권 전체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부동산 PF 익스포저 규모는 115조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대출이 91조2000억 원, 유동화증권 채무보증이 24조3000억 원이다.

PF대출 상환 리스크도 높아졌다. 부동산 PF대출의 자산건전성이 대부분 업권에서 악화했으며, 특히 증권사 PF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1년 말 3.7%에서 지난 9월 말 8.2%까지 상승했다.

한은이 사업장별 주요 지표를 점검한 결과, 비은행권이 참여한 PF 사업장의 리스크 수준은 지난 2020년 말 이후부터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종합 리스크 평균 점수는 지난 2020년 말 53.7%, 2021년 말 58.0%, 지난해 9월 67.0%로 상승했다.

한은이 PF 사업장 부실화에 따른 비은행금융기관 복원력 저하 정도를 점검한 결과, 비은행금융기관 전반의 자본 비율은 규제 비율을 웃도는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심각한 시나리오가 현실화하는 예외적 상황에서는 규제 비율을 하회하는 금융기관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최근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고 미분양주택이 쌓이는 등 건설업 영업환경이 악화하자 일부 건설기업의 부실 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이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비금융 상장기업 2392개 중 건설업 72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상장 건설기업은 지난해 1∼3분기 중 상환능력, 유동성, 안정성이 악화했다. 영업이익만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취약 기업 비중은 지난해 9월 기준 36.1%로 2021년 말(28.9%)보다 커졌다.

같은 기간 유동성 우려 기업 비중도 13.3%에서 18.1%로 늘었다. 유동성 우려 기업은 1년 이내에 상환 만기가 돌아오는 유동부채가 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자산보다 많은, 유동비율 100% 미만 기업을 의미한다.

부채비율은 지난해 9월 말 107.9%로, 2021년 말(97.4%)보다 상승했다.

건설기업의 중위 부실 위험(기업이 1년 후 부도 상태로 전환될 확률)은 0.613%로 2021년 말(0.603%)에 비해 소폭 상승했으며, 부실 위험기업(부실위험 5% 초과) 비중은 2.8%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은에 따르면 일부 건설기업의 경우 상당 규모의 부동산 PF 관련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어 우발채무가 현실화할 경우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조사 결과 상장 건설기업 중 32개 기업이 PF대출·유동화증권에 대한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자기자본의 2배를 초과하는 PF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었다.

중도금 대출 보증 등 기타 채무보증을 모두 포함하면 44개 기업이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를 보유하고 있으며 10분의 1 정도는 우발채무 규모가 자기자본의 5배를 초과했다.

한은은 PF 리스크와 관련해 시장 상황에 맞춘 시점별·단계별 대응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시장 위축 정도에 따라 유동성 지원, 부실채권 정리·건설사 구조조정, 부실 금융기관 정리 등으로 순차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임광규 한은 안정총괄팀장은 "부동산 시장이 예상보다 호전되면 유동성 지원금을 축소하거나 건설사 구조조정이 필요하지만, 안 좋아진다면 시장 안정화 조치에 중점을 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