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직장인 10명 중 6명, 명품 대여 부정적…‘과소비 심화’ 가능

입력 2023-03-10 14: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학생‧직장인 10명 중 6명, 명품 대여 부정적…‘과소비 심화’ 가능 (사진제공=인크루트)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명품 소비액은 약 21조 원으로 1인당 소비액으로 환산하면 약 40만 4천 원이다. 약 7만 원인 중국이나 약 35만 원인 미국보다 높은 것이다.

명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대여하는 시장도 덩덜아 성장하고 있다. LF가 운영하는 명품시계 편집숍 라움워치는 ‘프리미엄 렌탈 서비스’를 출시하고 중고 명품시계를 빌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10일 HR테크 기업 인크루트가 발표한 대학생‧구직자‧직장인 등 9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이러한 명품을 구매하지 않고 대여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응답자의 37.3%가 명품 대여가 대체로 부정적이라고 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매우 부정적이라는 의견이 25.3%에 달했다. 다만 대체로 긍정적이라는 답변이 31%를 차지했고, 매우 긍정적이라는 답변은 6.4%에 불과했다.

긍정적으로 생각한 이들의 이유로는 환경보호와 적은 비용으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어 좋다는 것이 대표적이었고, 부정적으로 생각한 이들은 과소비가 심화할 것을 가장 우려했다.

명품을 비롯한 고가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국내 평균 소비 수준이 올랐다는 데는 응답자의 84.6%가 동의했다. 대체로 동의한다는 의견이 51.7%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매우 동의한다(32.9%)는 응답이 뒤따랐다.

대체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10.2%,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2%를 차지했다. 10명 중 8명이 명품을 포함해 고가를 찾는 소비행태가 국내 평균 소비 수준을 올렸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SNS의 영향으로 과시‧모방소비가 는 탓을 원인으로 꼽은 응답자가 35.3%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자기만족(24.7%) △코로나로 인한 보복소비(15.6%)가 뒤이었다.

SNS에 나왔던 음식점, 카페를 방문하고, 유행하는 액티비티를 하고, 한정판 제품을 선물하는 등 지출 규모가 커지면서 친구나 애인 등 지인과의 만남이 부담스러웠던 적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가끔있다가 58.8%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그 뒤를 거의 없다(22.1%), 자주 있다(11.0%), 전혀 없다(8.1%)가 이었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의지와 다르게 주변의 권유 또는 모방소비로 계획에 없었던 과소비를 했던 경험이 있는지, 그 빈도는 어느 정도인지 물었는데 자주 있다(4.9%), 가끔 있다(47.0%), 거의 없다(33.0%), 전혀 없다(15.1%)로 그런 경험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과반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