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규슈대 의학부 하야시 가쓰히코 교수는 영국 런던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FCI)에 열린 제3차 인간게놈편집 국제학술회의에서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하야시 교수는 “수(웅성)세포로부터 건강한 포유류 난모세포(난자의 근원이 되는 세포)를 만들어 낸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하야시 교수 연구팀은 수컷 쥐의 체세포를 채취해 줄기세포로 전환한 뒤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XX염색체를 가진 iPS를 만들기 위해 체세포에서 빌려온 Y염색체는 삭제하고 다른 세포에서 빌려온 X염색체를 추가했다. 이렇게 생성된 iPS로는 난자 생산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이렇게 생산된 난자를 수컷 정자와 수정시켜 배아 600개를 배양했다. 연구진은 만들어진 배아를 대리모 역할의 쥐에 이식에 7마리의 새끼를 얻었다.
하야시 교수는 “새끼 쥐의 건강은 양호하며 수명도 정상”이라며 “생장한 뒤 자손도 낳았다”고 밝혔다.
이전에도 과학자들은 유전 공학 등을 동원해 생물학적 수컷들 사이에서 새끼 쥐를 만들었다. 그러나 수세포에서 유정란을 만들어낸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가디언은 이번 성과를 ‘상당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하야시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인간 체세포로 같은 방식을 시도할 예정이다.
하야시 팀은 기술이 개발되면 X염색체의 한 복사본이 없거나 부분적으로 누락된 터너 증후군을 가진 여성 등 심각한 형태의 불임 치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10년 내 인간에 기술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하야시 교수의 전망이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아직 실험실에서 인공 수정체 배양에 성공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실험실 배양 생식세포를 연구하는 아만다 클라크 캘리포니아 대학 로스앤젤레스 교수는 “과학자들이 아직 난자 실험실 배양에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하야시 교수팀의) 작업을 인간 세포로 옮기는 것은 ‘엄청난 도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