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물가 불안 압박으로 올 기준금리 최고 4.0%까지 오를 수도"

입력 2023-02-23 09:11수정 2023-02-23 09: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경연, '2023년 기준금리 예측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 발표

(자료제공=한경연)

현재 3.5%인 한국의 기준금리가 물가 불안 압박으로 연말 3.75∼4.0%까지 오를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3일 발표한 '2023년 기준금리 예측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상과 국내 물가 불안으로 국내 금리의 인상 압박이 높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둔화세를 보였던 미국의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가 지난달 다시 상승 폭을 키우면서 연준이 상단 기준 4.75%인 현재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릴 가능성이 커졌다.

물가 불안도 국내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국내 소비자물가가 올해 1월 5.2%라는 큰 상승 폭을 보였고, 농산물·석유류 등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근원물가도 작년 8월 4.4% 이후 5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인다.

특히 올해 1월 근원물가 상승률(5.0%)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월(5.2%) 이후 13년 11개월 만에 최대치를 보였다.

한경연은 어떠한 변수가 한국의 기준금리와 연관을 가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2001년 1분기부터 2022년 4분기까지의 자료를 활용해 한국의 기준금리와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상승률, 원유·천연가스 수입 물가 상승률,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의 기준금리가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는 유럽연합(EU)의 기준금리였고, 영국 기준금리, 미국 기준금리, 소비자물가상승률, 경제성장률이 순이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미국의 기준금리를 일방적으로 추종하기보다 주요 경쟁국의 기준금리와 물가, 성장률을 두루 고려하기 때문이라고 한경연은 해석했다.

한경연은 자기상관 이동평균 모형 등 10개 모형을 통해 올해 국내 기준금리를 예측해보니 상반기 말 3.75%, 연말 4.0%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물가부담과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국내 금리 인상 압력이 높아진 상황이어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운용에 어려움이 많다"면서 "경쟁국의 금리 인상 여부와 국내 경제 상황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신중한 금리 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