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CGV, 작년 영업손실 768억 '적자 폭↓'…매출은 74% 성장

입력 2023-02-08 20: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세계적 코로나 회복 기조…손실 개선"
베트남·인니 '흑자 전환'…중국·튀르키예 '적자 폭↑'

코스피 상장사 CJ CGV는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손실이 768억원으로 전년 2411억 원 대비 적자 폭이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은 1조2813억 원으로 전년 대비 74.0% 증가했다. 순손실은 2145억 원으로 적자 폭을 줄였다.

CJ CGV는 "전세계적인 팬데믹에서 회복되는 기조에 따라 매출이 늘면서 영업손실도 개선되는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CJ CGV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한국을 포함한 7개국에 591개 극장, 4207개 스크린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 매출은 전년 대비 115.0% 증가한 7066억 원, 영업손실은 913억 원 감소한 123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CGV를 비롯한 영화관을 찾은 전체 관객 수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1억명을 넘어서며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는 게 CJ CGV측 설명했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사업은 팬데믹 여파에서 벗어나면서 흑자로 전환했다. 베트남은 매출 1499억 원·영업이익 102억 원, 인도네시아는 매출 925억 원·영업이익 111억 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중국과 튀르키예에서는 영업손실이 각각 469억 원, 32억원 늘어나 적자 폭이 커졌다. 매출의 경우 튀르키예에서는 142.3% 증가한 853억 원을 기록했으나, 중국은 37.2% 줄어든 10747억 원에 그쳤다.

자회사인 4D 플렉스는 특수관 선호 현상에 힘입어 지난해 매출 1089억 원, 영업이익 82억 원을 기록해 흑자 전환했다.

지난해 4분기 실적만 놓고 보면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39.9% 증가한 3345억 원을 기록했고 영업손실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한국에서 4분기 매출 1950억 원, 영업이익 127억 원으로 3분기에 이어 흑자를 유지했다.

베트남에서는 매출 390억 원·영업이익 4억 원을 기록해 4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 인도네시아에서는 매출 234억 원·영업이익 39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팬데믹 여파가 4분기 말까지 이어진 중국에서는 매출이 51.8% 줄어든 341억 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손실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9억 원 늘어난 123억 원으로 적자 폭이 커졌다.

튀르키예에서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4% 증가한 234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영업이익은 96억 원 손실로 적자 전환했다.

CJ CGV는 올해는 코로나19 영향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실적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허민회 CJ CGV 대표는 "지난해에는 '범죄도시 2'와 '아바타: 물의 길'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영화관 사업이 지속해서 성장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줬다"며 "올해는 극장 차별화를 강조할 수 있는 기술 특별관 강화는 물론 공간 비즈니스 사업자로 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