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해장으로 먹는 물메기(꼼치)…"어떻게 살고 있을까"

입력 2023-02-04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과원, 바이오로깅 장치 부착된 꼼치로 생활사 연구

▲국립수산과학원이 진해만에서 바이오로깅 장치 부착된 꼼치로 생활사 연구에 들어간다. (사진제공=국립수산과학)
겨울철 해장용으로 즐겨 먹는 물메기(꼼치)지만 꼼치에 대해 우리는 잘 모르고 있다. 기존에는 단년생으로 산란이 끝나면 죽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연구에서 생존 사실이 보고되기도 했다. 이에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이하 수과원)이 꼼치에 표지표를 부착하고 방류해 생활사를 연구하기로 했다.

4일 수관원에 따르면 꼼치의 생활사 연구를 위해 주요 산란장 중 하나인 경상남도 진해만에 표지표를 부착한 꼼치 40마리를 지난달 13일과 30일에 2회에 걸쳐 방류했다고 밝혔다. 표지표는 표지번호와 연락처 등이 기재돼 있다.

옛날 ‘물텀벙이’라는 별명을 가진 꼼치는 잡혀도 바로 바다로 버려진 천대받던 물고기였지만, 물메기탕으로 사랑받으면서 지금은 대구와 어깨를 겨룰 정도로 몸값이 상승해 ‘어생(魚生)역전’을 이룬 대표적인 어종이다.

지금까지 꼼치는 단년생이며, 산란기에 접어드는 11월 말부터 연안으로 돌아와 산란이 끝나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지난해 1월 수과원에서 시행한 표지방류시험에서 방류한 개체 중 일부가 일주일 후 거가대교를 지나 진해만 바깥쪽으로 이동한 것이 확인돼 산란 후에도 생존할 수 있고 다년생일 가능성이 커졌다.

이번에 방류한 개체 중 22마리에는 약 1년 동안 10분 주기로 수온과 수심을 기록할 수 있는 바이오로깅(Bio-logging) 장치가 부착돼 있어 장치가 회수되면 그동안 알지 못했던 꼼치의 서식 환경과 생활사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수경 수과원 수산자원연구센터장은 “겨울철 수산물로 사랑받고 있는 꼼치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식환경 등 생태정보에 대한 과학 자료를 바탕으로 자원관리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수과원은 어업인에게 표지표가 달린 꼼치를 발견하시면 신고와 표지표 수거에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신고 시 생물학적 측정 후 꼼치는 돌려주고 소정의 기념품도 제공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