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집 커졌지만 내실 부실해진 한국기업…“경제 비상등”

입력 2022-12-2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한상의, 국내 상장사 재무상황 분석결과
전년 동기보다 매출↑ㆍ성장 속도↓
총자산 2.8% 증가할 때 총부채 4.4% 늘어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올해 한국기업의 몸집은 커졌지만 내실은 부실해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성장 속도와 활동성도 둔화하고 있어 내년 경기 한파를 대비해야 하는 한국 경제에 비상등이 켜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함께 1612개 상장사(대기업 160개, 중견기업 778개, 중소기업 674개)의 올해 3분기까지 재무 상황을 각각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 등 4개 부문별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상장사들의 기업매출과 총자산 등 성장성은 개선됐지만, 매출액 증가 속도가 둔화하고 영업이익이 줄어드는 등 내용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은 일제히 나빠졌다.

국내 상장사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0% 늘었다. 지난해(14.0%)에 이어 매출 성장세가 유지됐다. 다만 성장 속도는 다소 둔화했다. 작년 2분기에서 3분기를 거치며 매출액증가율이 0.5%p 상승했으나 올해는 2.3%p 감소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은 대기업이 17.8%, 중견기업이 23.4%, 중소기업이 10.2% 증가했다. 하지만 2분기와 비교한 3분기 매출액은 대기업 2.8%p, 중견기업 0.6%p, 중소기업 2.0%p가 각각 줄었다.

▲(제공=대한상공회의소)

국내 상장사의 총자산은 전 분기 대비 2.8%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총부채도 4.4% 늘어나 ‘빚으로 쌓아 올린 자산’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분석 대상기업의 합산 총자산은 39조 원 증가했으나 총부채는 40조 원 증가해 부채증가액이 자산증가액을 앞질렀다.

대기업은 총자산이 2.6% 오른 동안 부채는 4.1%가 증가했고, 중견기업은 총자산 4.0%, 총부채 5.9%가 각각 올랐다. 중소기업은 총자산이 1.2%, 총부채가 1.1% 늘었다.

지난해 3분기까지 53.5%를 기록한 영업이익증감률은 올해 -7.2%로 내려앉았다. 특히 대기업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3분기까지 대기업은 58.3% 성장세를 보였으나 올해는 1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3.1%, 4.0% 증가했지만, 지난해의 성장률에는 크게 못 미쳤다.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매출액영업이익률도 함께 줄었다. 기업이 많이 팔고 오히려 손해를 봤다는 의미다.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p 줄었다. 이는 전 분기와 비교해도 1.0%p 줄어든 수치다.

기업이 부담해야 할 이자 비용은 전년 대비 22.3% 증가했다. 이는 올해 상반기부터 시작된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대상기업의 3분기 발생 이자 비용은 총 3조5000억 원으로 1분기(2조6000억 원)와 2분기(3조 원) 발생 이자 비용을 고려하면 분기마다 4000~5000억 원의 순이자부담이 늘어난 셈이다.

▲(제공=대한상공회의소)

기업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도 일제히 하락했다. 외부 차입의 증가로 전체기업의 3분기 누적 부채비율(81.4%)과 차입금의존도(19.4%)가 모두 작년 같은 기간의 부채비율(74.2%)과 차입금의존도(18.9%)보다 증가했다.

특히 자기자본 대비 기업부채의 크기를 의미하는 부채비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최대치다. 전년 대비 상승 폭도 7.2%p로 코로나 당시의 2019~2020년 상승 폭(+2.6%p, 3분기 말 기준)을 크게 앞질렀다.

총자본에서 부채를 제외한 자기자본의 비중을 나타내는 자기자본비율도 지난해 같은 시점에 비해 2.3%p 떨어진 55.1%를 기록해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당시에는 58.1%(2019년 3분기)에서 57.2%(2020년 3분기)로 0.9%p 하락했다.

문제는 나빠진 상황을 반전시킬 기업의 활력이 크게 떨어진 것이다. 보고서는 재고자산이 늘어난 점을 근거로 들었다. 3분기 말 기준 총자산에서 재고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6.1%, 2021년 6.6%에서 올해 8.0%로 급격히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지난해 3분기 말 대비 대기업은 5.5%에서 6.8%로, 중견기업은 9.7%에서 11.4%로, 중소기업은 7.9%에서 8.4%로 각각 증가했다.

재고자산회전율도 10.7회로 기록됐다, 재고자산회전율은 재고자산이 매출로 이어지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회전율이 낮으면 재고자산의 소진 속도가 더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업은 12.4회, 중견기업은 8.2회, 중소기업은 5.5회로, 지난 분기에 비해 모두 느려졌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국내 대기업의 가동률이 코로나 때보다 떨어졌고 기업들은 앞다퉈 내년 목표실적을 하향 조정하는 등 상황이 좋지 않다”며 “당분간 어려움이 지속하겠지만 이럴 때일수록 위기를 기회 삼아 새로운 활로를 찾아내는 기업가정신이 나타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