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아파트 리뷰 주요 키워드는 '벽간소음ㆍ안전진단ㆍ분양가'

입력 2022-12-26 08: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예년대비 2022년에 많이 언급된 키워드 (자료제공=직방)

올해 아파트 관련 주요 검색 키워드는 '벽간소음' ,'안전진단', '분양가' 등으로 나타났다.

26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과 호갱노노 이용자가 작성한 전국 아파트 단지 리뷰에 따르면 예년(2018~2021년) 대비 올해 상대적으로 언급률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벽간소음으로 나타났다. 벽간소음은 예년도 평균보다 올해 3.76배 높은 언급률을 기록했다.

벽간소음에 이어 △안전진단(2.82배) △분양가(2.82배) △물난리(2.78배) △발망치(2.59배) 등의 키워드가 뒤를 이었다.

벽간소음은 층간소음과 달리 공동주택 같은 층에 있는 옆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의미한다. 예전부터 공동주택의 소음과 관련해 층간소음에 대한 관심이 많고 실제로 층간소음 키워드는 절대적인 언급률이 8.7%(2022년 4분기 기준)를 기록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나, 현재는 층간소음만이 아니라 같은 층의 벽간소음에 대한 관심 또한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안전진단 키워드는 20대 대선이 있었던 1분기에 높은 언급률을 기록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후보 당시 언급한 30년 이상 노후 아파트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면제 정책이나, 대선 직후 발표한 재건축 안전진단 완화 정책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이웃 키워드에서 '재건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분양가 키워드는 지난해까지 1~2% 내외의 언급률을 기록했으나 올해 들어 언급률이 꾸준히 상승해 4분기 현재는 5.5%의 높은 언급률을 기록하고 있다. 실제 리뷰들에서 분양가 키워드를 직접 언급하는 경우를 보면 분양가 적정성에 대해 논하는 경우가 많았다.

물난리 키워드는 이전까지만 해도 언급률이 높은 키워드는 아니었다. 그러나 올해 여름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에서 집중호우가 쏟아지며 강남역 일대와 같은 저지대의 침수 사태,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던 일가족이 사망한 사건 등으로 관심이 늘었다.

발망치 키워드는 층간소음 이슈와 관련한 신조어다. 지난해에도 과거 대비 언급률이 상승한 주요 키워드로 선정된 바 있다. 발망치 키워드는 꾸준히 언급률이 상승하고 있으며, 실제 리뷰들을 보면 위층의 층간소음을 발망치 소리에 비유하며 불만을 표하는 글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