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업계, 182억 투자 파크ㆍ연구센터 등에 "환영"

입력 2022-12-21 18: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LG에너지솔루션 오창공장 전경. (사진제공=LG에너지솔루션)

정부는 21일 경제정책방향에서 2023년부터 배터리 아카데미, 2025년까지 182억 원을 투입하는 배터리 파크, 2023년부터 차세대 배터리 개발 연구센터 및 파일럿(Pilot)라인 구축 등 방안을 발표했다. 이를 접한 배터리 업계는 환영의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해 A업계 관계자는 “인력 지원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배터리 인력이 길어지고 있는 배터리 업계의 수익성이 1년에 2배씩 오르는 등 외형 성장하고 산업 규모 가 크는데 사람이 많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R&D 수요가 따라올 수 있느냐가 업계의 걱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배터리 아카데미가 필요한 것은 분명히 반길 일이다. 전고체 배터리 분야에서 일본이나 우리나라가 제각각 앞서는 분야가 있는데, 차세대에는 누가 선점하느냐가 문제다. 이를 강조하는 방식이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정부가 먼저 확보하려는 노력을 하는 건 고무적”이라고 전했다.

B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관계자로서 좋은 일이다. 도리어 지금보다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산업 지탱할 수 있는 인재가 있어야 되는데 인력 구성이 많이 모자라다고 체감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학교와 대학원 등과 손잡고 산업계가 인재 양성을 많히 하고 있지만, 정부에서도 장학금 등 국가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경제적 지원이 요구된다. 배터리 업계로서 정부의 지지를 환영하고, 대한민국 산업을 이끌어갈 배터리 업계 입장에서 지금 하고 있는 이상으로 더 열심히 하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C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방향성이 업계가 고민하고 있던 맥락이다. 업계가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을 정부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며 “(배터리 아카데미 등)은 인력 전반이 부족한데 산업 전반의 인프라 를키우는 데 충분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제 막 관련학과가 생겨나고 졸업생이 생기는 상황이다. 인력이 너무 많이 필요한데, 인력 공급은 이에 대한 속도를 못 쫓아가는 상황이다. 이번 지원을 통해 정부 차원에서도 일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