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90% “내년 경영계획 현상유지ㆍ긴축…전사적 원가 절감 집중”

입력 2022-12-18 11:00수정 2022-12-18 11: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총 ‘2023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
경제 회복 시점은 2024년 이후 전망
주력사업 대체 수익원 발생은 5년 이상 예상
“기업 활력 돋을 수 있는 대책 마련 시급”

(출처=경총 ‘2023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

글로벌 경제 위기로 기업 활동이 크게 위축되면서 기업 10곳 중 9곳이 내년 경영계획 기조를 현상유지나 긴축하기로 한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가 전국 30인 이상 기업 240개사(응답 기업 기준, 부서장 이상)를 대상으로 ‘2023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내년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 90.8%가 경영계획 기조를 ‘현상유지’ 또는 ‘긴축경영’으로 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현상유지’는 68.5%, ‘긴축경영’은 22.3%로 나타났고, ‘확대경영’이라는 응답은 9.2%에 불과했다.

‘긴축경영’이라고 응답한 기업 중 72.4%가 구체적인 시행계획으로 ‘전사적 원가 절감’을 선택했다. 이 외 ‘유동성 확보(31.0%)’와 ‘인력운용 합리화(31.0%)’를 선택한 기업의 비중도 높게 나타났다.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들은 2023년 투자 및 채용 계획을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수립했다. 투자계획은 ‘올해 수준’이라는 응답이 66.9%로 가장 높았으며, ‘투자 확대’는 15.4%, ‘투자 축소’는 17.7%로 집계됐다. 채용계획 역시 ‘올해 수준’이라는 응답이 61.5%로 가장 높았으며, 올해 대비 ‘채용 확대’는 24.6%, ‘채용 축소’는 13.8%로 조사됐다.

(출처=경총 ‘2023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

응답 기업의 74.2%는 우리 경제가 정상궤도로 회복되는 시점으로 ‘2024년 이후’를 꼽았다. ‘2025년 이후’라는 응답도 22.9%에 달했으며, 내년(2023년)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25.8%에 그쳤다. 또한, 기업들이 전망한 2023년 경제성장률은 평균 1.6%였으며, 구간별로는 성장률이 ‘2.0% 미만’일 것이란 응답이 90.8%에 달했다.

최근 한국은행 기준금리(현재 3.25%)에 대해서는 ‘현재 수준보다 인하하거나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81.7%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높아진 금리 부담과 함께 기업 영업실적까지 악화된 상황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올해 정부가 제출한 법인세제 개편안이 통과돼 법인세 부담이 감소할 경우, 대다수(85.0%)의 기업들은 ‘일자리 창출(59.6%) 및 투자 확대(25.4%)’ 같은 기대효과가 예상된다고 답했다.

(출처=경총 ‘2023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

현재 주력사업이 향후 주요 수익원으로 가능한 기간에 대해서는 ‘5년 이상’ 응답은 80.0%, ‘5년 미만’ 응답은 20.0%로 나타났다.

‘5년 미만’이라고 응답한 기업을 대상으로 ‘현 주력사업을 대체할 사업의 진행 여부’를 물은 결과, ‘대체사업이 결정돼 현재 사업을 진행 중’이라는 응답은 16.7%에 불과했다. ‘대체사업이 결정되지 않았거나, 검토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68.8%로 나타났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내년 경영계획 기조로 ‘현상유지’ 또는 ‘긴축경영’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지난해보다 크게 늘어 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내년 경기상황이 올해보다 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업의 활력을 돋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일부 제도 개선이 있었지만,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다른 나라 기업들보다 최소한 불리한 환경에서 경쟁하지는 않도록 세제와 노동시장의 지속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