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실내 마스크' 조정안 발표…적용 시기는 불확실

입력 2022-12-18 09:57수정 2022-12-18 09: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네거티브 전환 후 전면 해제하는 2단계 조정 유력

▲16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 실내마스크 의무 착용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뉴시스)

정부가 23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안을 확정·발표한다. 상대적 저위험 시설부터 착용 의무를 해제하고, 추후 모든 시설에서 의무를 해제하는 2단계 조정안이 유력하다.

18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정부는 19일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의견 수렴을 거쳐 23일 열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안을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질병청은 15일 전문가 토론회를 열어 마크스 의무 조정안 관련 의견을 수렴했다. 이 자리에서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는 마스크 착용 의무를 적용 시설만 나열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하고, 추후 모든 시설에서 의무를 권고로 전환하는 2단계 조정안을 발표했다. 1단계 적용 시설의 예시로는 의료기관과 약국, 사회복지시설, 대중교통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동절기 유행 추이에 따라 시설과 별개로 연령별(영유아) 의무 조정을 제안했다.

정부안도 큰 틀에선 정 교수의 안을 벗어나지 않을 전망이다.

관건은 조정 시기다. 일각에선 설 연휴 전 1단계 조정 가능성이 점쳐지지만, 방역당국은 특정 시점이 아닌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마스크 의무를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15일 토론회에서 평가지표의 예로 신규 확진자 수 추이와 감염재생산지수,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신규 위중·중증환자 수 추이와 치명률, 고령자·감염취약시설 동절기 접종률 등을 제시했다. 23일 발표에선 구체적인 평가지표와 함께 유행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지표가 충족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가 함께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코로나19 유행 추이를 고려할 때 마스크 착용 의무가 전면 해제되는 시점은 2월 이후가 될 전망이다.

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만8862명으로 전주 일요일(발표일)인 11일(5만4319명)보다 4543명(8.4%) 늘었다. 최근 1주간(12~18일) 일평균 확진자 수도 6만5713명으로 직전 1주간(6만75명)보다 5638명(9.4%) 증가했다. 확진자가 늘면서 위·중증환자도 증가세다. 이날 0시 기준 재원 중 위·중증환자는 520명으로 9월 19일(508명) 이후 3개월여 만에 500명을 넘어섰다. 그나마 사망자는 42명으로 전주 일요일보다 2명 느는 데 그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