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27번째 원전 ‘신한울 1호기’ 준공…尹 정부 원전 복귀 가속화

입력 2022-12-14 11:42수정 2022-12-14 15: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신한울1호기 에너지와 무역 안보·핵심기자재 국산화 성공

▲신한울1호기 준공식 참석자들이 준공기념 세러머니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신한울 1호기가 14일 경북 울진 신한울원전 부지에서 준공식을 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27번째 원자력발전소 보유국이 됐고 신한울 1호기를 포함해 25기의 원전을 가동하고 있다.

2010년 착공 후 12년 만에 가동한 신한울 1호기는 1400㎿ 규모의 차세대 한국형 원전(APR1400)이다. 신한울 1호기 완공으로 국내 발전설비용량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2021년 말 대비)은 18.3%로 약 1%p 올라간다. 내년 9월 신한울 2호기도 완공하면 원전 설비 비중은 19.3%로 상승한다.

윤석열 정부의 원전 복귀가 가속하는 것이다. 여기에 설계수명이 완료되는 원전의 계속 운전도 추진한다. 한수원은 고리 2, 3, 4, 호기의 계속 운전을 신청했으며 국정과제 목표인 총 10기의 계속운전을 진행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신한울 1호기가 △에너지와 무역 안보 기여 △핵심 기자재 국산화 및 원전수출 활성화 △원전 생태계 재도약의 발판 등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한울 1호기 전경.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겨울철 전력예비율은 신한울 1호기 덕에 11.7%에서 13.3%로 1.6%p 늘어난다. 신한울 1호기의 가동은 향후 최대 연간 140만 톤 이상의 LNG 수입을 대체해 에너지 연료 약 93%를 수입하는 우리나라 에너지·무역 안보에 힘을 보탠다.

차세대 한국형 원전인 APR1400이 적용된 신한울 1호기는 그간 미자립 영역으로 남아있던 원자로 냉각재펌프(RCP), 원전 계측제어시스템(MMIS) 등 핵심기자재를 국산화한 최초의 원전이다.

정부는 원전업계의 경영애로 해소 및 신규 설비투자를 위한 대출, 보증 등 금융지원, 원자력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한 R&D 지원에 내년 1조 원 이상이 별도로 투자될 계획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축사를 보내 “2022년은 원전산업이 재도약하는 원년으로 기억될 것”이라며 “정부는 원전산업을 우리 수출을 이끌어 가는 버팀목으로 만들고,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원전 강국으로 위상을 다시금 펼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전 업계를 위해 내년 2조 원 이상의 일감과 금융, R&D를 긴급 지원하겠다”며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에 총 4000억 원을 투자하여 미래 원전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울 1호기 현장을 둘러본 이창양 산업부장관은 “원전 운영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안전”이라며 “안전한 원전 운영이 국민 신뢰도 제고하고 나아가 원전수출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